{) 매월당집 14권, 敍悶 6수 중 제 3수八朔解他語(팔삭해타어) : 여덟 달만에 남의 말 알아들었고三朞能綴文(삼기능철문) : 세 돌에 글을 엮을 수 있었네雨花吟得句(우화음득구 ... .水雲三百里 물따라 구름따라 3백리 길歲月一長亭 세월은 정자에 길게 머물렀네.野草理山經 산길을 들풀에 묻혀 버리고閑花落小庭 한가한 꽃은 작은 뜰에 떨어지는구나.此身何處泊 이 몸 ... 으로 삼게 했다. 한편 그의 예리한 판단에 의한 비판적 능력은 불우(不遇)한 환경(環境)이라는 그의 현실적 자극(刺戟)은 동시에 비판적 기질(氣質)을 형성(形成)하게 했다.“ 敍悶서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