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이 우리네의 역사에서 삶의 형태로 종교문화의 형태로 드러나고 있다. 그것을 산에 안긴 삶과 물에 담긴 삶으로 풀어본다.들어가서 - 한국인의 자연1.산에 안긴 삶으로 해석하는 한국인 ... 경는 점, 그것은 어쩌면 산 경험의 전제 없이 불가능한 주장이다. 그리고 불교 문화의 수평적 존재 구조라는 의식의 심층적 존재 양태에서는 비록 산신각이 가람의 한 모서리를 차지 ... 에 동의 금강산, 남의 지리산, 중의 삼각산, 서의 묘향산, 북의 백두산 등의 오악과 동의 오대산, 남의 속리산, 중의 백악산, 서의 구월산, 북의 장백산 등을 오진으로 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