는 청탁의 대립을 설명하였고, 된소리는 합용병서로 표기하는 것보다 각자병서하는 것이 옮다고 주장하였으며, 몽고문자 기원설을 주장하였다.다음으로, 중성례에서 그는 유씨교정 정례 15형 ... ㅎㅅ이탁(구강음)ㄲㄸㅃㅉㆅㅆ삼청(유기음)ㅋㅌㅍㅊㆆㄹ사탁(비강음)ㆁㄴㅁ/ㅇㅿ그는 아래의 표와 같이 초성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정성(초성)은 24자라 해서 초성을 4X6의 체계 속 ... 역의 개념을 버리지 아니하고 오행과 오장에 합리화시켜 초성을 36자모로 분류하였다.여기에서는 조음점의 순서가 목안으로부터 입술까지 정연하게 되어있고 각 자모 계열에 대한 조음점
이 소멸하게 되며 17세기 자음체제는 25자가 된다.네 번째로 어두합용병서의 혼란을 들 수 있다. 이는 또한 두가지 유형으로 요약되는데 하나는 15, 16세기의 ㅄ 계열의 자음군 ... 만 해도 비교적 엄격히 구분되던 가/가 과 가/가 의 혼동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다섯 번째는 종성에서의 ㅅ, ㄷ 혼란도 들 수 있겠다. 훈민정음 창제당시에는 엄격히 지켜지던 종성 ... 에서의 ㅅ, ㄷ 의 구별(8종성법)은 16세기부터 무너지기 시작하여 최세진의 언문자문에서는 ㅅ 으로 통합되었다가 (7종성법) 17세기에는 이미 매우 자의적으로 표기하게 되었다.여섯 번
'은 임진왜란 후에 없어졌다.후기 중세 국어에는 자음군이 어두에 올 수 있었다. 이들은 초성들을 합용병서한 것인데, ㅂ계 어두 자음군으로 'ㅳ, 힝, ㅶ. ㅷ', 힝계 어두 자음군 ... 다. 제한된 자료를 통해서나마 자음 체계를 살펴보면, 폐쇄음은 평음과 유기음의 양 계열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荒'의 뜻을 가진 '居柒'(삼국사기, 권44)의 '柒'과 '厭 ... 이 나타나지 않고 '새비', '날밤', '더버서'처럼 쓰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모음 사이 'ㅅ'도 마찬가지인데, 향가에도 '가을'을 '秋察'(제망매가), 강조사 '사>힝>아>야
), ㅁ ㅂ ㅍ, ㅅ ㅈ ㅊ(가), ㅇ ㆆ ㅎ"에서 ‘가·ㄹ·가’ 3자는 이체를 형성한 경우이다. 그리하여 전탁(全濁) 계열의 각자병서(各自竝書) 6초성을 합한 훈민정음의 23초성 ... 었다. 이정음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초성 중 기본자(基本字:ㄱ·ㄴ·ㅁ·ㅅ·ㅇ)는 그 자음(字音)이 나타내는 음소(音素)를 조음(調音)할 때의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떴다고 하였다. 곧 설음 ... (舌音:ㄴ), 순음(脣音:ㅁ), 후음(喉音:ㅇ)에서 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기본문자를 삼은 것은 그 소리가 가장 약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치음(齒音)에서 ‘ㅅ’과 ‘ㅈ’은 비록 둘
(齒音)글자 ㅈㅊㅉㅅㅆ을 둘로 나누어 치두 음(齒頭音)글자 ㄲㄲㄲㄲㄲ과 정치음(正齒音)글자 ㄲㄲㄲㄲㄲ을 더 만들었다.이 밖에 합용법(合用法)을 활용하여 초성(初聲)글자의 합용병서(合用 ... (文字系統)인 몽골글자나 Tibet 문자(文字)를 개량(改良)해서 만든 몽고(蒙古)의 Phags-pa(八思巴) 글자와 같은 계열(系列)에 속하며, 음절 단위(音節 單位)로 표기 ... 竝書)을 허 용하여 중세국어(中世國語)에서는 ㅅ계(系)로, ㅂ계(系)로 ㄱ, 계(系)로 ㄱ ㄱ 등과 간혹 ㅎ ㄲ 등이 쓰였고, 훈민정음 해례본 합자해(訓民正音 解例本 合字解
적 원리를 이해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 종성에도 합용병서가 몇 가지 나타나는데, ‘ㄳ·ㅧ·ㄺ·ㄻ·ㄼ·ㅭ’ 이 그것이다.2.2.4 합자체계훈민정음 체계에서 가장 큰 특징의 하나는 초성 ... 로서 이의 합성으로 만들었다. 종성은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이라 하여 글자를 새로 만들지는 않았으나 형태음소적 원리를 적용해 사실상 8자 체계, 즉 ㄱ, ㄷ, ㄴ, ㅂ, ㅁ, ㅅ ... , ㅁ글자를 기본글자로 삼았다. ㅁ소리를 낼 때에는 입술이 닫겨지므로 이때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잇소리는 ㅅ,ㅈ,ㅊ으로, 그 가운데 ㅅ글자를 기본으로 삼았다. ㅅ소리는 혀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