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 Myocardial infarction, MI)의 정의▶ 심장에 양분 ?산소 등을 공급하는 혈관인 관상동맥(冠狀動脈)에 혈전(血栓)이 생기거나, 관상동맥경화증 때문에 순환장애 ... 손상된 심근의 위치에 따라 위치 구분.② 좌심실은 심장의 주된 펌프로 심근경색의 가장 흔하고 위험한 부분.③ 좌심실 경색은 좌심실벽의 상방과 후방 손상 연접부위에 흔히 발생.▶ 전벽 ... 을 일으키고 국소빈혈이 된 근육은 전기적 불안정 상태가 되어 부정맥(심실세동, 심실빈맥, 방실차단 등) 나타남.2) 심인성 쇼크(cardiogenic shock) : 심장의 펌프기능
(AV dissociation)심방과 심실이 각각 독립적으로 박동하는 상태동방결절이나 심방의 이송성 자극에 의해 심방 흥분됨심실은 방실연접부와 심실의 이소성 박동에 의해 흥분 ... , 또 syndrome(WPW 증후군)- 심방과 심실을 연결하는 방실간 회로의 부경로를 통해 일어나는 부정맥→40 - 80%는 빈맥성 부정맥: 이 중 80%가 발작성상 심실성 빈맥 ... < 부정맥의 종류 >▶ 부정맥 - 발생기전, 발생부위, 발생형태, 심박수, 리듬변화 등에 따라 분류· 발생기전에 따른 분류- 전기자극 형성 장애- 자극 전도 장애- 이 두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