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2,470)
  • 리포트(2,235)
  • 시험자료(178)
  • 방송통신대(34)
  • 논문(17)
  • 서식(2)
  • 자기소개서(2)
  • ppt테마(2)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광해군임진왜란" 검색결과 1,181-1,200 / 2,470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A+ 독후감 레포트] 성공한 왕 실패한 왕을 읽고
    한 후계구도를 만든 것은 자신의 가정조차도 다스리지 못했던 한심한 군주란 얘기다. 임진왜란 후의 국제정세와 복구사업을 이끌어간 광해군에게 정적이 될 것이 분명한 영창대군을 살해하고 인목 ... 왜란 때도 광해군에게 대리청정을 떠맡기고 명나라로 망명갈 생각을 한 뻔뻔스런 군주다. 그런 선조의 후계자인 광해군이 폭군으로 무시된 것은 서인들의 모략인 탓이다. 선조가 복잡 ... 대비를 폐위시킨 일로만 폭군이라 할 수 없다. 사실 선조는 최대의 국난-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두 번이나 맞은 왕인데 왜 성공한 왕으로 꼽았는지를 잘 이해할 수 없었다. 이 책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6.07
  • 비운의 왕, 광해군과 연산군
    중종반정에 의해 폐왕이 되었다.○ 광해군에 대한 백과사전의 기록조선의 제15대 왕(재위 1608~1623). 임진왜란 기간 동안 국가 안위를 위해 많은 공을 세웠으며, 전쟁이 끝난 ... 으면서 광해군에게 후금에 대한 밀서를 보내서 후금의 대한 대책을 새울 수 있게 해주었다. 또한 임진왜란 이후로 중단되었던 일본과의 외교도 재개하였다. 이를 통해서 일본과의 관계를 회복 ... 투서사건이 발생하자 언문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광해군의 정책광해군은 왕으로 등극한 후 먼저 임진왜란으로 파탄난 국가 재정을 회복하는 데 전력을 기우렸다. 그리고 자신의 지지기반인
    Non-Ai HUMAN
    |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8.02.25
  • [한국고전소설론]전기소설에서 여성주인공의 역할 변모 양상
    을 허로서 이에 뽑혀 문명을 떨쳤다.이에 앞서 임진왜란 때는 주전론(主戰論)을 주장하였고, 광해군 초에 권신(權臣) 이이첨(李爾瞻)이 교제하기를 청하였으나, 끝내 거절하였다. 광해군 ... 의 비(妃) 유씨(柳氏)의 아우 유희분(柳希奮) 등 척족(戚族)들의 방종을 풍자한 궁류시(宮柳詩)를 지어 비방하자, 광해군이 대로(大怒)하여 시(詩)의 출처를 찾던 중, 1612년
    Non-Ai HUMAN
    | 리포트 | 13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2.04.20
  • 한국근세사 뒷부분
    한국근세사 수업자료사학과의 학문에 있어 절대 권위를 가진 이상환(李子)이 만들었다.(지우지마시오)◆ 임진왜란과 의병항쟁1592년, 우리나라는 7년이라는 오랜 기간 동안 전쟁 ... 이 일어났다. 바로 임진왜란이다. 먼저 임진왜란의 원인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일본 측에서는 당파성으로 인해 준비를 못한 우리나라 정부에 책임을 묻고 있다. 이 주장은 광복 이후 ... 광해군은 너그러웠다 한다. 결국 인빈김씨는 동인들과 연합하여 정철을 유배 보냈고 동인이 다시 정계에 복귀하게 되었다. 그러나 서인의 처리 문제를 놓고 동인은 강경파인 북인과 온건파인
    Non-Ai HUMAN
    | 시험자료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0.07.24 | 수정일 2014.10.23
  • 선조의 정치와 임진왜란0
    선조의 정치와 임진왜란0제1장. 선조의 생애와 정치선조(宣祖, 1552년(명종 7년) 음력 11월 11일 ~ 1608년)는 조선의 제14대 임금(재위 1567년~1608년)이 ... 년에 걸친 전쟁은 끝났다.5. 이몽학의 난임진왜란 직후 정유재란이 발발하기 직전까지 조선과 일본은 잠시 휴전 상태가 되었다. 이 때를 노리고 왕족 서얼인 이몽학은 의병을 모집 ... 다. 피휘)는 연(?). 사후 시호는 선종소경정륜입극성덕홍렬지성대의격천희운현문의무성예달효대왕(宣宗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熙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이며 이후 광해군 때 묘호를 선조
    Non-Ai HUMAN
    | 리포트 | 12페이지 | 3,000원 | 등록일 2011.06.11
  • 동양건축사)한국 건축 도시 궁궐 조선 동궐
    보다 한 단 높이 설치되어 있는 등 가운데와 둘레의 구별이 보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원래 성종 15년에 지은 인양전이 있었는데,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뒤 인조 11년(1633)에 인경 ... (1607)에 중건하여 광해군 원년에 완공되어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으로 현존하는 궁궐의 대문으로는 가장 오래된 것(보물383호). 정면 5칸에 측면 2칸의 2층 건물.창덕궁 돈화문궁궐
    Non-Ai HUMAN
    | 리포트 | 4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9.29
  • 한국사 연표
    1504150615101512151915431545155515891592159315971598갑자사화중종반정3포 왜란임신약조기묘사화백운동서원 세움을사사화을묘왜변붕당정치 시작임진왜란(~1598), 한산도대첩행주대첩 ... 정유재란왜란 철수로 왜란 종결연산군중종인종명종선조17C16081609161016231624162716281631163616451653165416581659166216781696경기 ... 서적 수입하멜 제주도 표착, 시헌력 채택나선정벌제2차 나선정벌호서지방에 대동법 실시제언사 설치상평통보 주조안용복, 독도에서 일본인 쫓아냄광해군인조효종현종숙종18C
    Non-Ai HUMAN
    | 시험자료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03.12
  • 향교 답사기
    을 비롯한 유교교육이 강화된 곳으로 보아 대체로 고려말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 후 1402년(태종 2)에 중건(重建)하였고,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인하 ... 여 교궁(校宮)이 소실(燒失)되었으며, 1609년(광해군 1)에 재건하였다.1632년(인조 10)에 중수하였고, 1749년(영조 25)에 중건하였으며, 1839년(헌종 5)에 교궁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4.05.30 | 수정일 2017.08.27
  • 조선에 필요한 사람은... 광해군 이었거늘...
    적으로는 임진왜란 후 어지러워진 나라를 다시 세우기 위한 작업들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작업들 중에는 왕권 강화책으로 들 수 있는 궁궐사업도 있고 전쟁으로 인하여 소실된 여러 가지 서적 ... 을 비판하기 위해 억지로 내세운 이유임에 틀림없다. (비디오의 내용에 근거하여)임진왜란이 끝난 후 불타버린 궁궐들을 다시 건설한 이유는 무엇보다 왕권의 기강을 바로 잡기 위해서였을 ... 었던 광해군... 그가 왕위를 물러난 후 그 뒤에 눈을 감으며 마지막으로 했을 한마디가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광해군, 그는 도대체 어떠한 일들을 했기에 조선이라는 나라를 짊어지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8.09.07
  • [한국문화사] 담배의 개념과 어원 및 전래과정, 담배의 문화와 상업적 재배(자본의 싹), 일제의 연초세, 담배의 규제, 담배 광고
    에는 광해군 시절인 1610년 일본에서 들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조선실록"에는 지금부터 약 400년 전인 임진왜란 때 왜인들에 의해 담배가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다.4. 담배의 문화
    Non-Ai HUMAN
    | 리포트 | 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4.05.23
  • 독후감 - 최척전을 읽고
    최척전을 읽고은 1621년(광해군 13년)에 조위한(1567-1649)이 지은 한문소설이다.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을 배경으로 한 옥영과 최척의 만남과 이별, 홍도와 그 아버지
    Non-Ai HUMAN
    | 리포트 | 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0.27
  • 고산 윤선도의 생애와 업적
    을 거치고 현종12년(1671)에 사망하였다. 이 시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같은 유래 없는 변란이 있었으며, 정치적으로는 당쟁이 심해지는 가운데 서인이 득세한 시기였다.그의 집안 ... 고산 윤선도孤山 尹善道윤선도는 누구인가?윤선도의 자는 약이(約而)이며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그는 조선 선조20년(1587년)에 태어나 광해군, 인조, 효종 ... 세(광해군8년1616)때 그는 이이첨, 박승종, 유희분 등은 당시 집권세력의 좌상을 격렬히 규탄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모함을 받아 함경도 경원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그
    Non-Ai HUMAN
    | 리포트 | 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1.12
  • 사회과(국사) 교수-학습지도안
    하였는가?Ⅱ. 단원 설정의 이유임진왜란 7년 전쟁은 우리 민족사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 사건이었다. 인적 손실, 국토의 황폐화, 문화적 손실의 상처가 오래도록 아물지 못했고, 이후 ... 사회 변화를 촉발시킨 점도 매우 크다. 따라서 전쟁의 전반적인 진행과정과 전후 상황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Ⅲ. 지도목표분 류내 용이해면? 임진왜란이 일어난 국내외의 배경을 인식 ... 한다.? 임진왜란 때 관군과 의병의 활약상에 대해 파악한다.? 임진왜란의 대내외적 영향에 대해 이해한다.기능면? 임진왜란의 발발 원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게 한다.? 임진왜란
    Non-Ai HUMAN
    | 리포트 | 9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04.26
  • 서울의 문화재-보신각종
    한 간격을 두고 2조의 띠를 돌리고 있어 이것이 하대 역할을 하는 문양대로 되어 있다.종의 몸체에는 ‘성화 4년 2월 일’ 등 장문의 관직 인명이 새겨있어 주조연대가 확실한 임진왜란 ... 타종하였다.1. 보신각종 개관2. 보신각종 관련 사진1920년대 보신각 사진 현재의 보신각지임진왜란 이전의 2층 구조와 달리정면 3칸 측면 2칸의 단층 팔짝 지붕형식3. 선정이유 ... 을 알리는 용도로 사용되어 온 곳이다. 그러다가 1597년 일본과 전쟁을 벌인 임진왜란 당시에 종각과 종이 모두 불타서 원각사에 있던 종을 옮겨 걸었다. 그 후 1895년에 종루
    Non-Ai HUMAN
    | 리포트 | 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01.13
  • 재배사육기술 - 고추, 토마토 재배
    에 분포)로서 고온성 작물에 속하며 우리나라에는은 임진왜란 (1614년) 전후에 일본에서 들어왔다는 주장이 지배적이지만, 최근 비슷한 시기에 중국에서 도입되었다는 학설도 제기되고 있 ... 는데 우리나라에는 임진왜란 이후에 담배, 호박과 함께 도입되었다고 하였다. 최남선(1890∼1957)은 고초(苦椒)가 담배와 함께 일본군을 따라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들어온 것이고 ... 다. 고추가 우리나라에 도입된 내력은 광해군 6년(1614년) 이수광이 저술한 지봉유설에 고추를 가리키는 남만초의 기록이 있고, 그 도입경로가 왜국인 까닭에 왜개자(倭芥子)라고
    Non-Ai HUMAN
    | 리포트 | 45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1.05.27
  • 이순신 장군님의 리더십
    다.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에서 일본 수군과 첫 해전을 벌여 30여 척을 격파하였다(옥포대첩). 이어 사천에서는 거북선을 처음 사용하여 적선 13척을 격파하였다(사천포해전 ... 은 새삼스런 일은 아니다. 7년 동안 이어진 임진왜란 기간 중 장군의 족적. 그 곳에는 믿기 어려운 승전의 신화도 있었지만 쓰라린 고난의 역경이 더 많았다. 여기서 주목한 것 ... 1등이 되고 덕풍부원군에 추봉된 데 이어 좌의정이 추증되었다. 1613년(광해군 5) 영의정이 더해졌다. 묘소는 아산시 어라산에 있으며, 왕이 직접 지은 비문과 충신문이 건립
    Non-Ai HUMAN
    |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0.10.30
  • 선조대 후반-인조대 초반 대명관계 연구
    ) 20세기 전반 ~ 현재 : 대체로 긍정의 대상으로 파악① 이나바 이와키치 : 광해군의 중립적 정책에 긍정적 평가- 광해군을 ‘택민주의자’로 찬양- 광해군의 대외정책 : 임진왜란 당시 ... 적?광해군 즉위 동안 후금의 침략 저지?명의 무리한 요구 회피→왕권강화와 국가재건을 위한 여유 획득?광해군 대외정책의 사상적 근원 : 임진왜란 및 선조의 대명외교에서 영향② 부정 ... 한명기. 「宣祖代 후반-仁祖代 초반 對明關係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國史學科. 1997. pp. 244-251서론Ⅰ.선조대 후반 임진왜란과 대명관계1. 명의 파병과 정치
    Non-Ai HUMAN
    | 리포트 | 6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5.29
  • 창덕궁 조사,연구
    을 거듭하던 창경궁은 선조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대부분 불에 타버렸다. 선조 41년(1608)에야 복구되기 시작해 광해군2년(1610)에 마무리된 창덕궁은 뒤이은 인조반정 ... )에는 종을 울리고, 통행금지를 해제하는 새벽2시 파루(罷漏)에는 북을 쳤다고 한다. 왜란으로 창덕궁이 불탈 때 돈화문도 소실되었다가 선조 40년(1607)에 중건에 착수하여 광해군 ... 궁 창건 당시에는 조계청(朝啓廳)이라 부르던 것을 세조7년(1461) 궁궐 건물의 이름을 바꿀 때 선정전이라 고쳤다고 한다. 이 전각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광해군대에 중건
    Non-Ai HUMAN
    |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9.12.10
  • 비운의 왕, 광해군
    됨, 임진왜란을 맞아 분조를 이끌기 시작1608년 선조 사망, 광해군 즉위 유영경 사사, 임해군 유배 선혜청 설치하고 경기도에대동법 시행1609년 기유약조를 매정, 임란 이후 단절 ... 었다.임진왜란으로 궁궐이 완전히 소실되어 국사를 월산대군의 서가에서 논의해야 할 지경이었기 때문이다.광해군은 왜 궁궐을 짓는데 그토록 집착하였을까 생각해 볼 수 있었다.이유는 그 ... 은 신물이 나도록 보았다.임진왜란이 끝난 지 겨우 20년인데 아직 후유증을 치유해야할 시기였다.그 와중에 장정들을 뽑고 군량에 대기 위해 세금을 다시 매기고 그것을 수천 리 바깥
    Non-Ai HUMAN
    | 리포트 | 14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08.09.15
  • 종묘내용
    다. 1395년(태조 4)에 준공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1608년(광해군 즉위년)에 제1∼11실을 완공한 이래 1726년(영조 2)에 제12∼15실, 1836년(헌종 2)에 제16 ... ,神位)를 모셨다.1421년(세종 3)에 건립되어 그 해 12월 목조(穆祖)의 신주가제1실에 옮겨진 이래 170여 년을 내려오다가 임진왜란 때 정전과함께 소실되어 1608년(광해군 ... 할 때 중국의 제도를 본떠궁궐의 동쪽에 영건(營建)을 시작하여 다음해 9월에 1차 완공하였다. 그 뒤 1546년(명종 1)까지계속되었으며,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
    Non-Ai HUMAN
    | 리포트 | 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9.12.08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0 오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