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한 양의 물을 부어 반으로 줄어들 때까지 졸여 30㎖씩 하루에 두 번 먹어준다.[관련자료⇒토종약초백과>측백나무]측백나무(약명 ; 측백엽, 백자인) : "잎을 쪄서 말리기를 아홉 ... 로 즐겨 먹고, 삶아서 말려 두었다가 묵나물로도 먹었다.소금물에 살짝 데쳐 나물로 무치고, 기름에 볶거나, 국을 끓여도 맛이 좋음튀김으로도 먹을 수 있고 잎을 날로 쌈을 싸 먹을 수
이 되었을까? 이유는 의외로 간단하다. 그 시대에 그냥 그렇게 정의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여기서 말하는 백자의 뜻은 여러 서적들을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百家란 일 백 가구란 뜻 ... 로워진다는 것으로 묵자사상의 기본적인 출발점이다. 겸상애의 "兼"은 儒家의 "別"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볼 수 있다. 儒家에서는 예교를 통해 모든 것을 구별해 놓았다. 즉 君과 臣, 父와 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