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 전통이나 재료 및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보존이론 및 철학의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이 제정되면서부터 많은 건조물이 보존을 위한 수리와 복원이 진행되어 왔다. 복원 ... 는 철물로 보강하고 덧추녀부와 선자상부에 헛집을 구성하여 하중경감의 효과를 요한다. 암기와의 경우 규격이 미달된 기와로 시공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노후되어 강도가 떨어진 상태로 재활용 ... 되어 있는 곳은 해체하여 교체 보수토록 했다.2.1.3.3 지붕 보강추녀의 경우 상태가 양호한 추녀는 일부 전단파괴 부분을 수지로 접착하여 재사용하고 그러지 못한 추녀는 신재로 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