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496)
  • 리포트(379)
  • 시험자료(99)
  • 논문(12)
  • 방송통신대(3)
  • 서식(2)
  • 자기소개서(1)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소정묘" 검색결과 81-100 / 496건

  •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심화 요약본 - 한국사 요약 정리 / 한국사 1급, 2급, 3급 / 한국사 정리 / 요약 / 핵심
    (자주)신라계승(사대)금 정벌금 사대?김보당(동계)?조위총(서경)?망이,망소이의난(공주 명학소)?김사미,효심의 난(운문,초전)?만적의난(개경)신분해방야별초삼별초?우왕외교▲거란 ... 성공 ▲전황(디플레이션)수공업관영수공업 (소 수공업 소멸)민영수공업 ? 선대제 ? 독립수공업광업관영광업설점수세제 ? 잠채유행상인 자본 ? 덕대(ceo) ? 노동자 고용성리학/실학이 ... ?(사화)서인심의겸, 정철?인조반정1년9개월경신X갑술노론온건파낙향 ? 향촌 자치사림파?(3사언론)유향소,서원,향약[동국문헌비고][동문휘고] 수원화성외교?태조?태종?세종?중종?명종?선조
    시험자료 | 8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2.04.13
  • 조선후기~현대 한국사 주요내용 주관식 정리
    의 은혜를 잊으면 안됨)-이괄의 난으로 세력이 분화되어 북쪽의 수비가 약해짐이후 후금은 조선 침략의 기회를 잡게 됨광해군의 원수를 갚겠다는 명분으로 정묘호란 발발->인조 강화도 피신 ... /독립교육 등을 통해 독립군을 양성하는 활동 전개(삼원보 지역의 신신흥무관학교, 용전촌의 서전서숙 등)신흥무관학교는 신흥강습소라는 이름에서 시작, 이회영의 재산을 기반으로 설립-가문
    시험자료 | 17페이지 | 4,000원 | 등록일 2020.11.11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사 능력 검정시험 총정리 / 이거 하나로 시험 준비 끝! / 최태성 큰별님 영상 내용 요약 써머리 정리본 / 보기 내용, 외우는 방법 다 적어놓음.
    . 소윤(윤원형) → 윤임↓+임꺽정 활동(명종 시기, 나라의 혼란기에 활동)5) 사림파가 살아남은 이유사림들의 세력 기반:지방 유향소, 서원(조선 후기), 향약을 통해 똘똘 뭉침4 ... ) 광해군: 중립 외교 (강홍립 장군 투항)2) 인조: -친명배금 정책-정묘호란: 정봉수(용골산성), 이립(의병)-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 (최명길 vs. 김상헌)3) 효종: -인조 ... )→(행정과 법률 분리됨.+기존 지방관 권리↓)-사회: 교육입국조서(근대 학제 출발_6-3-3제)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와중에 청일전쟁에서 日 승리!→시모노세키조약
    시험자료 | 4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02.08 | 수정일 2021.07.29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시험족보] 한국사 판서 족보입니다. 시험공부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부 성장→권족 반발. 홍건적·왜구 침입. 신돈 제거·공민왕 시해로 실패-신사부 성장: 지방 중소지주·지방 향리나 하급관리 자제. 성리학+과거 통해 관직 진출. 공민왕 개혁 정치 ... . 영창대군살해·인목대비폐위; 인조반정3)청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정묘호란-배경: 친명 배금 정책. 이괄의 난-전개: 후금 군대의 공격→인조 강화도 피신. 관군·의병 항전(정봉수·이립 ... 체론. 개항 반대 운동-1880년대: 개화 정책·조선책략 유포 반발→영남 만인소. 개화 정책·서양과 수교 반대→1894 일본군 경복궁 점령 후 항일의병운동 계승-의의: 일본·서양
    시험자료 | 24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0.10.10 | 수정일 2020.10.13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41회~50회 기출 선지 정리
    - 삼국 통일에 기여# 통일신라- 민정문서(일본 도다이사 쇼소인)- 서원경 부근 4개 촌락의 인구수, 토지 종류와 면적, 소와 말의 수 등을 기록한 문서- 울산항, 당항성# 살수대첩 ... 룡이 근왕병을 이끌고 광교산에서 항전- 삼전도비# 청군이 파병되는 계기- 임오군란-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조선 인조- 정묘호란- 이괄의 난(->왕이 도성을 떠나 공산성으로 피란 ... , 명륜당- 입학 정원은 고을의 위상과 크기에 따라 달랐음# 유향소- 수령보좌- 좌수/별감- 향리 비리 감시# 사역원- 한어, 왜어, 여진어 등 외국어 교육 담당# 왜양일체론
    시험자료 | 21페이지 | 5,000원 | 등록일 2021.04.10 | 수정일 2021.04.15
  • 한국사 1급 총정리
    .속현은 주군.주현을 통해 간접지배-특수행정구역 (향.부곡.소)-안찰사 파견양계 (군사)-군사 특수 행정구역, 병마사 파견군사조직중앙2군(국왕) 6위(수도경비)지방주현군 : 5도 ... 으로 서인 집권정묘호란 (정봉수가 용골산성에서 항쟁)친명배금 정책으로 후금자극 > 이괄의 난(인조반정을 주도한 서인은 광해군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하였으나, 이때 공신 책봉에 불만을 품 ... 은 조선책략을 들고옴)조사시찰단 (비밀리에 파견, 암행어사 형식으로)영선사 ( 근대식 무기제조 기술 습득, 기기국 본떠 기기창 설치)-영남만인소 사건 (이만손) : 위정척사파가 조선
    시험자료 | 37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20.10.30
  • 尙武 전통의 재해석과 忠義之鄕이라는 정체성-조선시대 평안도 지역 읍지 풍속 기술을 중심으로- (Reinterpretation of the Martial Tradition[尙武傳統] and the Identity of Loyal and Devoted Villages[忠義之鄕]-Focusing on the Local Gazetteers of Pyeongando in the Joseon Dynasty-)
    되었다. 임진왜란과 정묘ㆍ병자호란 당시 지역인들의 지역 및 국가공동체에 대한 자랑스러운 기여의 기억들은 상무 전통을 자랑스럽게 재해석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했다. 17세기 후반~18세기 초반 ... 용천이나 선천, 의주, 정주 등 평안도 고을들은 읍지에서 임진왜란, 정묘ㆍ병자호란 시기 지역인들의 충의 행적을 강조하며 ‘충의지향’이라는 자부심을 드러냈며 고을의 정체성으로 삼 ... their strengths in martial arts.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김지영
    논문 | 36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7.03 | 수정일 2025.07.05
  • 李器之(1690~1722)의 『一菴燕記』에묘사된 ‘작은 西洋’ (‘The small western world’ depicted in Ilamyeongi(一菴燕記) by Leegiji(1690~1722))
    을 거듭했고 그 정교함을 탄생시킨 서양 학문의 정묘함을 인정하게 되었다.『일암연기』에서 서양인은 華夷論으로 멸시하는 대상으로 묘사되지는 않았다. 오히려 사해동포라는 관점에서 서로 ... other Joseon litrerati's sino-barbarian theory.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이준갑
    논문 | 34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05 | 수정일 2025.06.09
  • 損窩 崔錫恒의 한시에 나타난 전란 기억 (The Remembrance of War in Sonwa Choi Seok-hang's poems)
    한 인물이며 그의 조부 최명길 역시 정묘·병자호란을 직접 겪은 인물이다. 그의 아버지 최후량까지 또한 전란과 연관된 인물이다. 손와는 그들의 삶을 추적·기억하면서 누적된 세대의 전란 ... poem.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Sonwa revealed his Rememberance of the war from various perspectives in Chinese poems.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박난아
    논문 | 25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5.22 | 수정일 2025.05.26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한국사 과제-나의 역사속 인물(광해군) 레포트
    년 누르하치의 후금 건국?1619년 사르후 전투 강흥립 출병?1621년 모문룡의 압록강변 점령?1623년 인조반정?1624년 이괄의 난?1626년 홍타이지 즉위?1627년 정묘호란 ... 에게 [선위교지]를 전달하게해 광해군을 지지하는 대북파와 영창대군을 지지하는 소복파가 싸우게되는빌미를 제공합니다.이로인해 광해군은 왕좌를 올랐음에도 왕권의 기반이불안정하여 대북파 ... 를 등용해 김직재의옥, 칠석의옥등 통해 소북파의신하들을 처형했습니다. 대북파는 여덟살에 불과했던 영창대군을 죽이고1615년 능창군 추대되는 사건으로 능창대군을 사약을 내리게 하고인목대비
    리포트 | 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04.02
  • 남한산성 독후감 A+ 받은 자료입니다.
    조)등급15세 관람가1) 등장인물이병현 (최명길)? 순간의 치욕을 견디고 나라와 백성을 지켜야한다는 이조판서? 젊은 나이 때부터 국가의 중요 요직을 거침? 정묘호란때 화의론을 주장 ... 어 내리는 인조반정을 일으켜 왕의자리에 오름? 이후 조선 국력에 맞지 않는 친명배금정책을 펼쳐 서인들과 함께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구실을 제공하여 삼전도의 굴욕을 당하게 됨2) 줄거리인 ... 는 일화들이 전혀 묘사되지 않음? 김상헌이 자결한 것으로 나옴. 실제로는 자결을 시도하다 제지를 받아 죽지 않고 척화파를 압송하라는 청의 요구에 따라 심양에 갔다가 소헌세자가 귀국할 때
    리포트 | 9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08.15
  • 滄洲 金益熙(1610∼1656)의 政治活動 (Kim Ikhee’s (1610∼1656) Politics)
    창주 김익희는 사계 김장생의 손자로, 인조대 척화와 효종대 북벌론을 주도했다.인조 반정 후 약관의 나이로 과거에 급제하여 청요직을 거치며 정묘호란을 당한 당시의 상황에서 척화파 ... policy towards the end of King Hyojong’s reign as well as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논총 지두환
    논문 | 29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21 | 수정일 2025.06.27
  • 조선시대 기후변화,조선왕조실록,소빙기
    전쟁(1701~1714)1소빙기우리나라 : '인조반정', '정묘호란', '병자호란', '경신 대기근', 을병 대기근'과 극심했던 당쟁1소빙기1640년께 그린델발트 빙하의 확장1소 ... 조선시대 기후변화Ecotopia1목차 17세기 위기 - 소빙기 조선왕조실록 으로 본 조선시대 기후변화 한계점1소빙기(小氷期, 1500~1920년경의 빙하 전진기) -'17세기
    리포트 | 11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07.16
  • 17세기 朝淸관계와‘倭情’의 군사외교적 활용 (TheRelationship between Joseon dynasty and Qingempire and Military․Diplomatic use of diplomaticitem ‘Whejung(倭情)' in the17th century)
    ,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패전,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청 중심 국제질서로의 전환 등 역사적 사건을 경험했다.이 과정에서 조선, 청, 일본의 삼국사이에 왜정이라는 군사정보가 중요 ... hift with the Qing-Joseon expeditions to the Amur(羅禪征伐) after years.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군사 김경록
    논문 | 41페이지 | 무료 | 등록일 2025.06.14 | 수정일 2025.06.17
  • 김문기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 논문 서평
    I. 서론본 보고서는 이화사학연구소 제36회 정기학술대회에서의 김문기 교수의 ‘17세기 중국과 조선의 재해와 기근’이라는 논문 발표를 듣고, 이를 요약, 비평한 것이다. 논문 ... 의 주된 내용과 문제제기는 17세기 소빙하기라는 기후 변동을 맞이하였고, 이에 중국, 한국, 일본이 모두 동일하게 가뭄, 냉해, 병충해 등을 비탕으로 극심한 기근을 겪었음을 주로 한다 ... 에서 볼 때 저자가 말하는 후금의 성장, 정묘호란, 병자호란과 당시 기후변동으로 인한 기근을 함께 연관하여 바라보는 관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굉장히 설득력있는 주장으로, 당시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11.27
  • 동양사상입문
    성적도 라는 목판화의 일종이다. 주소정묘란 공자가 대사구가 되고 나서 일주일 안에 시행했던 것이 그 소정묘를 주살하는 것이다. 소정묘라는 사람이 초기 법가와 같은 인물인데 노나라 ... 정부에 있었던 정책을 펼치면 바로 반대 의견을 내거나 허점을 잡아 노나라의 정책의 일관성에 혼란을 준 인물이다.공자는 자신이 대사구가 되자 마자 일주일 안에 이 소정묘를 주살하게 되 ... 가 읽는 사람으로부터 전달된다는 것이다. 소라고 하는 네번째의 뜻은 구절들을 풀이해줌으로써 전체적으로 읽기 편안하게 해준다.이렇게 보면 어떤 하나의 단어 안에서도 네 가지의 신분
    시험자료 | 4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19.12.12
  • 조선시대 붕당정치의 모든것
    조대 아래의 중진들과 주로 삼사나 이조를 중심으로 활약하던 소장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광해군 초반의 인사 정책은 대북 뿐 아니라, 소북은 물론 서인이나 남인도 어느 정도 ... 에 공신세력과 비공신세력의 대립으로 나타난 정치적 쟁점은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에서의 척화론 및 그 이후의 반청론이 있었다. 척화론은 성리학적 명분론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것 ... 으로서, 정치적 성격은 공신세력의 국정주도에 대한 반발이었을 뿐 당색에 따른 입장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인조5년(1627)의 정묘호란에서는 이귀의 주화론과 동조하는 최명길, 장유에 대항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19.11.16
  • 병자호란
    한다는 것은 말이 안됨)- 폐모살제 (인목대비를 유폐하고 영창대군을 살해)공안정국 형성/대북 이외의 세력은 전부 쫓겨남 - 서인, 남인, 소북의 원한을 사고 광해군은 신하들 간 경쟁 ... 몽고의 제압이후 조선을 공격하자는 합의가 이루어짐14-병자호란의 양상과 영향정묘화약의 인식이 전혀 달랐던 조선과 후금- 화약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 군열이 발생조선) 정묘화약은 종사를
    리포트 | 1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20.01.01
  • [한국사 1급 요약] 지역별 발생 사건 정리 요약
    (중국 길림성), 만주사변2. 서간도- 일제강점기 : 신민회 이주, 삼원보 개척, 경학사 조직, 신흥강습소 -> 신흥무관학교설립, 서로운정서 조직, 혼춘참변3. 북간도- 일제강점기 ... : 무신 집권 시 몽골 침입으로 왕실 천도(고종)- 조선 : 정묘호란 때 왕실 피난(인조), 병인양요(고종, 프랑스), 신미양요(고종, 미국), 강화도 조약(1876, 일본)11
    리포트 | 5페이지 | 2,000원 | 등록일 2019.10.31
  • [한능검 치트키]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어려운 선지정리(중급/초급도 가능)으로 합격 보장
    ,군사권을 행사수령-감사,도백으로 불림관찰사-잡과를 통해 선발기술직관리-생원,진사/대성전/명륜당성균관-좌수와 별감을 선발하여 운영유향소-전국의 부 목 군 현에 하나씩 설립조선시대 ... 제이고, 인목대비를 폐위)인조반정-이조전랑임명을 둘러싸고 김효원과 심의겸이 대립선조-정묘년 떄 맹약을 잠시라도 지켜서 몇 년이나마 화를 늦춰야 합니다인조, 정묘호란, 형제관계-오 ... 라총관 목극등, 백두산, 경계를 정해 비석 건립숙종-명의 요청에 따라 강홍립광해군(중립외교)-정묘호란 당시 용골산성에서 정봉수와 이립 등이 의병을 일으켜 후금에 맞써 싸움ok-원산
    시험자료 | 17페이지 | 5,900원 | 등록일 2020.02.27 | 수정일 2021.01.23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