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따라 날쌔고 용맹스런 자만 남겨 두고 그 나머지는 모두 돌려 보내어 원망이 없도록 하소서.4조聖上以醬酒?羹 施與行路 臣竊謂 聖上欲效光宗 消除罪業 普施結緣之意 此所謂小惠未遍也 若明其 ... 用之 我朝 自太祖以來 勿論貴賤 任意服着 官雖高而家貧 則不能備公? 雖無職而家富 則用綾羅錦繡 我國土宜好物少而?物多文彩之物 皆非土産 而人人得服 則恐於他國使臣迎接之時 百官禮服 不得如法 以取 ... 此所謂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者也 願聖上日愼一日 不自驕滿 接下思恭?或有罪者 輕重?論如法 則太平之業 可立待也->임금께서는 스스로 교만하지 말고 아랫사람을 공손히 대하고, 죄지은 자
交涉했을 당시 中國의 明·淸은 文化面에서나 科學技術面에서 西歐보다 앞선 시기였고 또한 中國은 넓은 국토와 풍부한 物産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들과의 貿易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차지 ... 했으며, 중국 전통의 '天朝支配體制'에 의해 서구세력이 朝貢을 바치고 明·淸 정부는 하사품을 내리는 형식의 '朝貢貿易'이 그 전부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체제를 가능할 수 있게 한 ... 것은 당시 明·淸이 오히려 앞선 입장이었고 중국 전역을 통일한 淸朝가 제도적으로 안정을 찾고 정통성을 구축한 康熙(1661∼1722)·擁正(1723∼1735)·乾隆(1735
(天寶) 14년(신라 을미년 경덕왕 14= 서기 755년)에 천자(天子-현종)의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일본(日本)에 안렴사(按廉使)로 갔다가 소임을 마치고 다시 중국으로 돌아가 ... 말하기를 “영공의 성이 남씨(南氏)아 라니 중국의 김충(金忠)이 봉명사신(奉命使臣)으로 조선에 이르러 성으로 고쳐 남씨(南氏)가 된 후손이 아니십니까? 나는 김충(金忠)의 후예 ... 龜(한균) ②兄-天龜(천균) ③弟-宅龜(택균) ④弟-履龜(이균)21代正臨(정림)22代埴煥(식환)①弟-章煥(장환)23代萬基(만기)24代益鎭(익진)①兄-明鎭(명진) ②兄-道鎭(도진
하였다.조선은 중앙집권체제를 강화하여 지방관을 중앙에서 파견하고, 자주 이를 관찰하기 위해 지방을 두루 순회하는 관찰사(觀察使)를 파견하였다. 이들 관찰사들은 명(明)나라의 사신 ... (使臣)이 서울에 오면 대접받는 것과 같이 대우받기를 지방관에게 요구하여 기생의 동침을 원하였다. 이리하여 한 관리가 서울에서 관찰사로 나가면 는 곳마나 그곳 관청에 소속된 기생과 함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부제 때 흉노(匈奴)의 사신(使臣)이 와서 고하기를 "흉노가 민(民)을 쳐서 왕의 머리를 음기(飮器)로 사용했다."고 했다. 이 음기를 두고 술잔으로 해 ... 보명각선사(雪寶明覺禪師)라는 승(僧)이 있다. 설보명각선사가 젊었던 시절 절강성의 임안부에 있는 설은사(雪隱寺)에서 수양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수련승들이 맡아야 하는 일들 중
과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당시의 동아시아 세력지형도를 살피는 근간도 될 수 있을 것이다.Ⅱ. 조선의 건국과 표전문제1. 조선의 건국과 중화질서의 균열명(明)의 철령 ... )이나 혹은 차남(次男)을 시켜서 친히 잡아 가지고 오게 하라.’ 하였습니다.……”조선이 이 난국을 타개하려면 명(明)이 원하는 대로 장남이나 차남을 보내는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맏이인 ... 이 명(明)에 사신으로 다녀온 후 극적으로 완화되었다. 그로부터 상당 기간 명나라로부터의 전쟁위협도 중단됐다.‘1년 3사’의 외교관계가 회복된 지 약 1년 후인 태조 5년(1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