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진 사랑, 길상, 깨달음 등으로 분류하였고, 이우환은 한국 민화의 예술성을 바탕으로 화조, 동물, 물고기, 산수, 수렵, 풍속, 사화 및 일호, 권위, 세사, 지역, 문방, 기타 ... 며, 후자는 사회적 지위를 가리지 않고 인간 본연의 자세로 돌아간 때의 보편성위에 바탕을 둔 민중들의 풍속, 생활감정의 주체를 이루는 뜻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협의의 민화는 조선 ... 무네요시주제별(5가지)문자민화, 길상적 민화, 전통적 화제민화, 정 물민화 도교적 민화2. 이우환용도별(3가지)도교적 민화 : 십장생, 사신도, 신선도 등불교적 민화 : 불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