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께 드리다아프다편찮으시다(표1 존대어휘)일반형낮춤말일반형낮춤말나저우리저희아버지아비어머니어미뒷덜미더수구니아내권속(표2 낮춤말)한국어의 이러한 존대법 또는 경어법에서 한국 사람은 윗 ... 에 따라 ‘너, 자네, 당신, 어르신’ 등으로 세분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도 한국의 예의 문화를 반영하는 것 이다.3.2.3. 존대어휘와 낮춤말한국어 경어법을 구성하는 요소에는 존대 ... 어휘와 낮춤말이 포함된다.일반형존대형일반형존대형먹다잡수시다, 드시다술약주자다주무시다집댁말하다말씀하다죽다돌아가시다밥진지있다계시다나이연세, 춘추생일생신이름함자, 성함, 존함-에게 주다
거의가 남성이다. 때로 남성이 여성을 우대하고 여성에게 존대어를 쓰면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 그 남성은 조금 모자라며 희극성을 가진 극중 인물로서 묘사되는 것이 대 ... 부분이다.남편은 한결같이 '해라`체의 언어를 사용하고 아내는 존칭의 종결어미를 사용한다. 이것은 부부간의 언어가 형평관계를 유지하지 못하는 극히 지엽적인 예라고 할 수 있
-로써' 1), [규정]에 따라 결국, 조사나 어미 모두 앞 말에 붙여쓴다.6. 문장부호 사용법1) 쉼표 사용방법? ; {맞춤법}에는 15가지 [반점(,)] 사용법이 제시되어 있다.2 ... , 조건 ; 'ㅛ-ㄱ-ㅘ'과 'ㅗ-ㄱ-ㅓ'(모든 모음은 유성음)으로,무성음 'ㄱ'이 [유성음화]되는 발음환경에 놓여 있다.10) 존대말이 우리나라에서만 발달했다고 했는데, 한글 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