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유불릉(劉弗陵)을 황태자로 삼았는 바, 그가 곧 소제(昭帝)다. 한무제는 소제(昭帝)의 친모 구익부인을 살해했는데 그 이유는 「고금을 막론하고 국가가 어지러운 것은 어린 임금 ... 족과 돌궐어 계통의 민족들도 있었다. 그러나 이 방면에 도통한 전문가라 하더라도 이들의 인종학적 언어학적 분류를 정확하게 지적할 수 없을 정도로 이들 사이도 서로 혼합되어 있
에 따라 불교를 강경하게 비판한 부류도 있었고, 이색과 같이 고려시대의 전통적인 유불(儒佛)병존의 경향에 따라 불교를 포용하려는 경향도 있었다는 점이다.그리고 정도전(鄭道傳 ... 이 존재했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지식인의 생각과 행동에는 유교와 불교가 혼합되어 있었고, 다만 일부가 성리학의 관점을 갖고 있던 시기였다. 즉 고려 말은 말하자면 ‘성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