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의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지 지하수의 잘못은 아닌 것이다.지하수의 이점은 열거할 수 없을 만큼 많다. 목마른 나그네의 목을 축여주는 옹달샘에서부터 대규모의 음료수, 생활용수, 공업용수 ... 라는 점이 그것이다. 이런 현상은 산허리를 깎아낸 곳이나 건축하기 위하여 토목공사를 한 곳을 가보면 알 수 있는데, 지하의 토양은 변화가 다양하다. 입자가 고른 모래가 있는가 하
되는데 그것은 이 토기를 만들고 사용한 사람들이 그러한 지형을 선택해서 살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빗살문토기가 발견되는 곳은 바닷가의 조개무지나 강변의 집자리가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 성이 뚜렷한데 두만강하류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북지역과 압록강·청천강·대동강을 포괄하는 서북지역 그리고 한강유역과 금강유역인 서남지역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무문토기는 진흙에 모래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