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음해례본 : ㄴ 은 왼쪽의 세로줄기나 아래의 가로줄기 길이가 동일하였다. 특히 모음 이 오른쪽에 올 때에는 더욱 그러하였다. 그러나 모음이 아래에 올 때에는 왼쪽의 세 로줄기 ... => 훈민정음 창제 원리를 가장 완벽하게 반영할 수 있는 방안임.- 문제점 => 코드값이 길이가 변동된다는 점 : 가 (2바이트), 읽(4바이트)- 하나의 글자에 대한 글자의 코드 ... , ㅕ 등의 앞에서 오늘날과 같은 가 형으로 나타나기 시작했 다. 그 이후로 모음이 오른쪽에 올 때의 ㄱ 은 오늘날의 가 에 보이는 ㄱ 과 같은 자 형으로 변화하게 되었다.2 ㄴ훈민
, 신소설, 현대 소설에 이르면서 한글체가 자리잡힌다.(4)국한 혼용체: 훈민정음 해례본 합자해(合字解)에는 "…文與言雜用則 孔子ㅣ 魯ㅅ사링之類… (한문과 언문을 섞어 쓸 때 ... (예개원으로 헌법 토의가 시작되면서 조선어학회는 헌법을 한글로 써서 공포하도록 건의하여 7월 17일에 헌법은 한글본과 국한문본의 두 가지가 공표되었다. 또한 조선어학회는 한글 전용법
. 외적 재구는 동계어로 생각되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를 비교하여 이전의 언어 상태를 재구하는 것이다.3.1.1. / /15세기의 / /의 음가는 훈민정음해례를 근거로 하 ... 이었음을 다음 근거로 밝혔다.(1) 훈민정음해례의 설명(2) 주격 조사와 서술격 조사 ‘-이’가 /ㅔ/, /ㅐ/, /ㅟ/, /ㅚ/ 다음에서 줄어지는 현상(3) /ㅔ/, /ㅐ ... . 경상도 방언의 형성경주에 위치한 사로국은 급량, 사량, 본피, 모량, 한지, 습비의 육방 연합체였다. 4세기 중엽에는 사로국이 진한 지역을 통일함으로써 신라가 성립되었다. 신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