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고혼의 옹호, 신라 고유 왕명과 관직명의 사용, 즉위년칭원법의 적용과 세가 대신 본기라는 표현의 사용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김부식의 사론은 문벌귀족간의 갈등을 체험 ... 알아보고자 한다.(1) 김부식의 생애김부식은 무열왕계의 후손인 김위영의 손자이며, 김근의 셋째 아들이다. 1096년(숙종 1)에 과거에 급제하여 안서 대도호부(安西 大都護府 ... )의 사록(司錄)과 참군사(參軍事)를 거쳐, 직한림(直翰林)에 발탁되었다. 이후 20여년 동안 한림원 등의 문한직(文翰職)에 종사하면서 자신의 학문을 발전시켰고, 한편으로 예종·인종
고유 왕명과 관직명의 사용, 즉위년칭원법의 적용과 세가 대신 본기라는 표현의 사용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김부식의 사론은 문벌귀족간의 갈등을 체험한 현실비판의 소리이 ... 적 사3년에 편찬된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서이다. 이 책은 왕명에 따라 김부식을 책임편찬관으로 하고 8명의 참고와 2명의 관구 등 11명의 편사관에 의해서 편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