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지만, 신 수 있다. 식용품에는 냉동품 ·건제품 ·염장품 ·통조림 등과 같이 주로 저장성을 주목적으로 제조하는 제품과 연제품 ·훈제품 ·젓갈 ·조미가공품 등과 같이 조미에 주목적을 두어 ... - (bottled food)7. 수산가공품 水産加工品 (processed marine product)8. 염건식품 鹽乾食品 (salted and dried food)9. 인스턴트식품 ... (instant food)10. 자건식품 煮乾食品 (boiled and dried food)11. 축산가공품 (畜産加工品)12. 합성식품 合成食品 (synthetic food)13. 식품
.효율적인 이용을 통해 수산물의 수급을 원활히 하도록 함.(2)수산가공품의 종류수산가공품-식용품-식품소재-공예품-해조가공품-의약용품-사료 및 비료식용품냉동품건제품훈제품염장품젓갈,어간장 ... 연제품어육소시지 및 햄조미가공품통조림2.수산물의 소비현황 수산물의 수급동향(단위:천톤)구분1996199719981999200000/99(%)공급생산3,2443,2442,8352 ... 수산가공품 시장목차1.서론수산가공의 목적수산가공품의 종류2.수산물의 소비현황3.수산가공품의 품목별 생산 및 업계동향4.수산가공품의 문제점 및 대책5.수산가공품의 전망1.수산가공
건제품과 젓갈로 가공되어 내륙지방까지 광범하게 공급되었고, 냉장시설을 갖추고 어류를 운반, 판매하는 영업도 생겨 식생활 전반에 걸쳐 수산식품의 이용도가 전시대에 비해 크게 증가 ... 었다. 그 후 쌀이 남아돌면서 쌀막걸리, 쌀과자 제조가 장려되기도 했다. 71,72년에 서양식 기본 소스인 케첩과 마요네즈가 잇따라 출시되면서 전통 조미료로 맛을 내는 한식 중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