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다 "이런 문서에서 이렇게 풍요한 의미를 길어낼 수 있다니"라는 경이감을 일으키는 문서들을 분석하고 있다.가령, 제 2장 '노동자들은 폭동한다: 생-세브랭 가의 고양이 대학살 ... 들어가며...우리가 지금 사는 이 문명이 수메르나 누란처럼 몇 천년 후의 고고학자들의 발굴 대상이 된다면, 과연 그들에게 가치있는 것은 무엇일까? 몇 천년 후의 고고학자까지 갈 ... 잔인하고 성적인, 어른들을 위한 동화였다는 새로운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이다.어릴 때 읽었던 동화중 내가 줄거리를 대강이라도 기억하고 있는 흔치 않은 동화로 가 있다. 빨간 모자
는 가장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고 공감할 것이라 여겨진다.제 2장 노동자들은 폭동한다: 생 -세브랭 가의 고양이 학살 은 인쇄공들에게 전승된 이야기의 해석을 통해 혁명이 일어나 ... 고양이 대학살- 프랑스 문화사 속의 다른 이야기들 -로버트 단턴·조한욱 역(1999).문학과 지성사.『고양이 대학살』- 프랑스 문화사 속의 다른 이야기들 은 총 376페이지 분량 ... 의 세계관을 이해할 수 있다는 저자의 의견에 동의한다.저자는 18세기의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한 부르조아의 기록을 제시한뒤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켜 다음장을 이끌어간다. 제 4장 한 경찰
여 실제의 저작에서 역사가 어떻게 서술되며 어떤 해석들이 내려지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먼저 단턴의 고양이 대학살을 살펴보자 1730년대 파리 생세브랭 가의 한 인쇄소 ... 는 요하고 재생산하는 데 작용했던- '문화'라는 개념으로 총칭할 수 있는 - 가치체계들이 있었다. 과거인들의 이러한 가치체계를 고려하지 않고 과거와의 대화를 시도하는 역사가는 결국 ... 는 "밑으로부터의 역사"를 실천하며 더 많은 사람들을 역사서술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점차 역사가들은 사회사의 방법이나 인식론에 의문을 품으면서 그 단점을 수정·보완할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