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서술 내용의 분석 27Ⅳ. 결론 및 제언56* 참고 문헌59* Abstract 62* 부록65표 목 차 한국 다문화 교육의 개념화 모델 8 다문화 교육의 다양한 차원들 9 ... 다문화 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지침 14 분석 대상 교과서 목록18 다문화프로그램 교수?학습 목표 21 다문화교육의 주요 개념과 내용 22 (주)천재교육 교과서 ‘Ⅵ. 사회변동 ... 의 범주와 개념을 소수자 정체성 교육, 소수자 공동체 교육, 다수자 대상의 소수자 이해교육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 명확화와 이중 문화주의, 다문화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