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대중문화’라는 용어의 선택에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 기독교는 대중문화의 가치와 매우 상충된다. 기독교는 믿음, 소망, 사랑의 무거운 가치를 추구하지만 대중문화 ... 도 바로 그 때문이다. 이런 말들은 인간이 독특한 삶의 방식, 즉 문화적으로 살아가는 존재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인간이 독특한 삶의 방식, 즉 문화적으로 살아가는 존재라는 말과 다르 ... 가 되었고, 언제부터인가 문화는 선택과목이 아니라 필수과목이 되었으며, 주변이 아니라 중심의 역할을 차지하게 되었다.) 우리의 현대의 문화적 상황은 급변하고 있고, 그 급변성을 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