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계 이주민의 동향을 6세기부터 7세기 말의 백제멸망 이후까지 살펴보았다. 특히 667년 近江 大津宮으로의 천도는 국내외적으로 위기를 겪고 있던 天智에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 ... 의 집단으로 재편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6세기 초반에 東國ㆍ北陸지역으로의 물류의 이동이 용이하고 고구려와의 대외교섭창구로서 중요한 近江地域(현 滋賀縣)으로 이주 ... 되었다고 보인다. 이 지역의 비파호를 이용한 농경지 개간 등의 경제적 목적도 이주의 한 요인이었다. Ⅲ장에서는 6세기 초반에 이주한 것으로 보이는 백제계 이주민들이 近江地域에남긴 고고자료
의 차이23Ⅳ. 맺음말25참고문헌도판Ⅰ. 머리말가야(伽倻)는 백제(百濟), 신라(新羅)와 함께 비슷한 시기에 건국되어 6세기까지 독자적인 문화와 역사의 발전 속에서 강력한 국가로 발전 ...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사료로는 삼국사기와 가락국기 등 현재의 사료만으로는 가야를 삼국시대의 틀에 의해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존재하다 병합되어버린 작은 소국 ... 는 기원후 3세기에서 기원후 5세기야 말로 영역국가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쇠퇴기는 기원후 6세기 초에서 6세기 중엽 멸망까지의 시기로 나눌 수 있다. 가야는 많은 소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