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통합검색(37)
  • 리포트(34)
  • 논문(3)
판매자 표지는 다운로드시 포함되지 않습니다.

"언해두창집요" 검색결과 21-37 / 37건

  • 판매자 표지 자료 표지
    [국어음운사]음소 연결 방식의 변천사
    , ㅌ/의 입천장소리 되기*17세기 : 초기 문헌인 ‘언해두창집요’(1608)나 ‘가례언해’(1632)에는 보이지 않고, 중기 문헌인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에는 「진딧 ... :7)변형의 예)‘노걸대 언해’ : ?나 머무러=(두입술소리 /ㅁ, ㅂ, ㅍ/다음의 /ㅡ/가 /ㅜ/로 바뀐 것은, 대체로 17세기 말~18세기 초에 걸쳐 완성된 듯 하다.나. /ㄷ ... ’ (1690) : 흣터디다, 댱마비, 디단?ㅣ, 밤듕...‘상훈언해’(1745) : 맛디디 말고 맛져란(35)*18세기 : /ㄷ, ㅌ/이 / ㅣ, ㅣ/ 앞에서 입천장소리 /ㅈ, ㅊ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5.21
  • [국어사]근대국어의 국어사
    다. 전후7년에 걸친 임진란이 지난뒤 맨 처음으로 나온 국어 문헌은 아마 언해두창집요,언해태산집요의 두 의서이다. 이는 선조말년(1608)에 간행된것이다.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 ... 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무릅피(언해두창집요 상 35), 곧?(동 下 49),븍녁킈(노걸대언해 上15) 등요컨대 근대에 있어서의 정서법은 중세로부터의 전통 ... 로는 역학서들이 많이 전하고있다. 박통사언해,첩해신어등은 지금까지 많이 이용되어 왔다.18세기에 들어 영조정조때에 간행된 문헌들은 언해와 역학서로 나누어 볼수가 있다언해는 삼강행실도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11.17
  • [인문]국어사 자료 정리 및 요약.
    .효경언해-다른 사서삼경 언해류처럼 교정청에서 간행된 것은 아니지만, 위에 말한교정청본들과 현저한 동질성을 가짐.※近代國語 資料1.醫書①언해태산집요, 언해두창집요(1608)-선조 ... 해례본(解例本)이라함.③본문, 해례, 정인지의 해례서로 구성.④이 훈민정음의 언해가 월인석보 권두에 실려 있음.→이 역시 세종대에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3.용비어천가 ... 24권인 것으로추정되었으나 최근 권25가 발견되었음.③그 밖에 刊經都監에서 간행된 불경언해들이 있다.(능엄경언해,법화경언해,금강경언해등)6.구급방언해(1466?)①세조 때에 간행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7.06.13
  • [어학]고영근의 표준중세국어문법론 근대국어 요약
    가 나 예가 나타난다.모음 사이의 된소리 또는 유기음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깃?(悅,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6.27), 무릅피(언해두창집요 上 35), 곧?(同 下 49), 곳츨 ... 등창집요(諺解痘瘡集要)(1608),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1608) : 의서(醫書). 현재 발견된 임진란이후의 최초 문헌. (서울대 규장각 소장)② 동의보감(東醫寶鑑)(25권 ... 은 초간본(初刊本)이고 중간본(重刊本)인 경우에는 그 초간본과 비교하여 변개(變改)된 부분에 한해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요한 자료들은 대략 다음과 같다.⑴ 17세기 전반① 언해
    리포트 | 12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23
  • [국어국문]국어사,근대국어
    라 ‘?’, 흘너(流) 등의 예가 나타난다.모음 사이의 된소리 또는 유기음을 표기하는데 있어서 깃?(悅,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6.27), 무릅피(언해두창집요 上 35), 곧?(同 下 ... 초간본과 비교하여 변개(變改)된 부분에 한해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요한 자료들은 대략 다음과 같다.⑴ 17세기 전반① 언해등창집요(諺解痘瘡集要)(1608), 언해태산집요(諺解 ... 으로 간행된 중간본.④ 연병지남(練兵指南)(1권, 1612), 동국신속삼강행실(東國新續三綱行實)(18권, 1617) (각각 국립도서관, 규장각 소장)⑤ 가례언해(家禮諺解)(1632
    리포트 | 1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6.16
  • 태의 허준에 대해서
    했으며 의학에 더욱 정통하였다. 호는 귀암(龜岩)이다. 태의(太醫)로서 품계가 숭록대부(崇祿大夫)에 이르렀다. 『동의보감(東醫寶鑑)』)25권, 『두창집요(痘瘡集要)』2권, 『언해두창집요 ... 에 노련하다”는 선조의 평(1604)과 “허준이 저미고란 약으로 많은 사람의 두창을 고쳤다”), “근래에 오직 박세거, 손사명, 안덕수, 양예수, 허준 등이 의원이로 이름이 나 있
    리포트 | 10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5.16
  • [국어사]근대국어
    도 6.27), 무릅피(언해두창집요 上 35), 곧칭(同 下 49), 곳츨(박통사언해 中 43), 븍녁키(노걸대언해 上 15) 등의 경향이 나타난다.근대의 정서법에서 두드러진 특징 ... 언해등창집요(諺解痘瘡集要)(1608), 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1608) : 의서(醫書). 현재 발 견된 임진란 이후의 최초 문헌. (서울대 규장각 소장)2 동의보감(東醫寶鑑 ... 도서관, 규장각 소장)5 가례언해(家禮諺解)(1632),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1635) : 현재 이들의 초간본은 전하지 않고 그 중간본만 전한다. (가람문고 소장)6 두시언해
    리포트 | 13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2.22
  • 15세기 국어의 움운학
    화/ㄷ, ㅌ/이 /i, j/ 앞에서 구개음화 된 흔적은 17세기 초기 문헌인 '언해두창집요'(1608)에는 보이지 않고, 중기 문헌인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는 「진딧 ... - 계이 자리의 /ㅡ/는 /ㅜ/로 바뀌었기 때문에, 지금말에서는 이 자리에서 /ㅡ/와 /ㅜ/는 중화된다.17세기에 나온, 중간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에는 대체로 「므, 브 ... 가 많이 나타나고, '몽어노절대'(1741-1790)에도 양순음의 다음 /ㅡ/는 거의 완전히 /ㅜ/로 바뀌었다. 또한 '어제 상훈언해'(17445), '계주윤음'(1757)등에
    리포트 | 48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7.03.25
  • [근대국어음운론]근대국어어두합용병서
    언해 하-39)눈네(언해두창집요 상-36) 손?로(언해태산집요 41)목숨믈(동국신속삼강행실도 효자 6-26)중철표기는 같이 선행 음운이 연속 표기되는 순행 방식이지만 후행음운이 앞 ... .(박병채 1989:276~277)① 先生의 머리? 다가 ?어 가져가니(박통사언해 하-24)? 협(狹,왜어유해 하-38)블근 구름이 ?? ? ?? 새 ?거늘(내훈-중간 2-24)② 아바 ... 님이 만일 ?들 아?시면(동국신속삼강행실도 열녀 1-42)吏로 隱居?야슈메 ?데 마?니(두시언해-중간 7-24)③ 스스로 ? 가온대 ?뎓더니(동국신속삼강행실도 열녀 1-68)임덕긔
    리포트 | 12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6.02.15
  • 허준에대해서
    되어 있었다. 이 책은 1601년에 편찬되었고, 1608년 내의원에서 목판본으로 출판했다. 〈언해두창집요 諺解痘瘡集要〉는 이 책을 우리말로 번역하여 백성들이 사용하기 쉽게 만든 책이 ... 사상허준은 어려서 서자로 자랐기 때문에 민중의 고통을 체험했고, 그 후로도 늘 고통받는 가난한 민중들의 입장에 서 있었다. 그 단적인 예가 〈언해두창집요〉·〈언해태산집요〉·〈언해구급 ... 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허준이 쓴 책은 동의고전 중의 하나인 〈두창집요 痘瘡集要〉로, 두창(천연두)에 관한 책으로는 임원준이 1460년에 편찬한 〈창진집 瘡疹集〉이 있고 이것
    리포트 | 5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3.09.13
  • [한국어 변천사]시대별 주요 문헌 자료
    廳)에서 간행된 것은 아니지만 위의 교정청본들과 현저한 동질성을 띠고 있다.4. 근대국어- 언해두창집요 : 임진란이 지난 뒤 맨 처음으로 나온 국어 문헌 두 의서(醫書)중 하나이 ... : 이어 간경도감에서 간행되었고 초간본은 매우 드물며 중인본, 복각본 등이 여럿 전한다.- 반야심경언해 : 1464년도에 간행되었다. ‘능엄경언해’의 뒤를 이어 간경도감에서 간행 ... 되었다. 초간본은 매우 드물며 중인본, 복각본 등이 여럿 전한다.- 원각경언해 : 1465년도 간행되었다. “원각경”을 한글로 번역하고 구결을 달아놓은 책이다. ‘능엄경언해’의 뒤
    리포트 | 11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6.01.12
  • [역사] 동의보감
    하는 것과 달리 허준은 동의보감 외에도 벽역신방, 신찬벽온방, 언해구급방,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맥결집성, 찬도방론맥결집성과 같은 의서들을 집필했다. 다시 말해 동의보감은 허준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4.05.30
  • [국어사] 근대국어
    유기음을 표기하는 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예. 깃힝(悅, 동국신속삼강행실 효자도 6.27), 무릅피(언해두창집요 上 35), 곧칭(동 下 49), 곳츨(박통사언해 ... 나타나는 것이 사실인데, 이들은 대개 동국신속삼강행실, 중간두시 언해, 노걸대언해 등 중세국어 문헌의 영향을 받은 책들에 한정되어 있다. 이리하여 17세기의 문자 체계는 사실상 ... ㅆ 의 표기가 많이 혼동되었다. 중간두시언해에 힝 (意)이 힝 (3.49, 7.11, 7.24 등)으로 나타난 예들을 제외하면, 이 혼동은 17세기 후반에 들어서의 일이다. 예
    리포트 | 14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21
  • [과학사] 한국 과학의 두 거장
    답습하기보다는 좀더 큰 원리에 따라 몸·병·약을 다시 보려 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2그외 의학에 대한 공헌: 허준은 『언해구급방』,『언해태산집요』,『언해두창집요』등과 같
    리포트 | 6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5.16
  • [문법] 15세기 국어의 음운학
    화 된 흔적은 17세기 초기 문헌인 '언해두창집요'(1608)에는 보이지 않고, 중기 문헌인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는 「진딧」의 구개음화 된 꼴이 보이는데, 이 꼴은 이미 오래 ... 에, 지금말에서는 이 자리에서 /ㅡ/와 /ㅜ/는 중화된다.17세기에 나온, 중간 '노걸대 언해'나 '박통사 언해'에는 대체로 「므, 브, 프」는 옛 모습을 지니고 뒤섞임이 거의 없이 ... )에도 양순음의 다음 /ㅡ/는 거의 완전히 /ㅜ/로 바뀌었다. 또한 '어제 상훈언해'(17445), '계주윤음'(1757)등에로 이러한 예가 나타난다.이로써 보
    리포트 | 48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2.04.15
  • [과학사] 한국의 과학기술 (10~19세기)
    "(1511-3년), 13폭의 세계지도첩, 이전 지도보다 상세함. "천하도", "사해총람도"등3. 의학1) 허준의 각종 의서 편찬 : "언해두창집요", "언해태산집요", "언해구급방
    리포트 | 16페이지 | 1,500원 | 등록일 2002.04.06
  • 허준의 교육학적 평가
    다. 그는 『찬도방론맥결집성(纂圖方論脈訣集成)』,『언해태산집요(諺解胎産集要)』,『언해두창집요(諺解痘瘡集要)』,『언해구급방(諺解救急方)』,『신찬벽온방(新纂癖瘟方)』, 『벽역신방(癖疫神方)』것이다. ... 의관 안광익과 함께 선조를 진찰한 뒤 임금을 비롯한 궁중 인사의 병을 치료하였으며, 내의원에서 의술을 인정받아 내의와 태의를 거쳐 어의에 올랐다.어의로 활동하면서 왕자의 두창
    리포트 | 7페이지 | 1,000원 | 등록일 2000.12.02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6 오후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