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는 수령의 권한과 책임이 갈수록 강화되었다. 수령칠사(守令七事)로 불리는 수령의 일반적 임무는 경제, 교육, 군사, 부세, 사법 전반에 걸쳐있었다. 이러한 임무의 원활한 수행과 적법 ... 자들은 성적에 따라 종6품에서 9품까지의 관품을 받았는데, 장원에게 주어진 종6품의 관품은 참상관과 지방수령으로 나아갈 수 있는 하한선이었다. 또한 장원을 비롯한 소수의 성적우수 ... 자에게는 상 문제를 발생시키기도 했다. 음관은 비리 수령이라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수 있지만, 혹 변하도도 음관출신이 아니었을까 추측해본다.변학도가 부임했던 남원은 한편으로 『택리지
로서 그 주된 임무는 「수령칠사(守令七事)」라 하여 ①농사와 누에치는 일을 잘 돌볼 것 ②인구를 늘릴 것 ③교육을 진흥시킬 것 ④군대에 관한 사무를 바르게 할 것 ⑤부역 등을 균등히 ... 할 것 ⑥민사의 소송을 바르게 할 것 ⑦간교하고 교활함이 없도록 할 것 등 지방수령의 공통임무에 속해 있으며 지방관의 치적은 관찰사를 통해 매년 임금에게 보고되었으며 또한 유사시
을 받게 됨으로써 교육과 학업의 방향이 국가기관으로부터 결정되게 되었다. 특히 수명학교(修明學校)를 수령칠사(守令七事)의 하나로 넣어 수령포폄의 주요 기준으로 삼음으로써 교육행정체계 ... 교육을 통할한 행정의 최고기관은 예조(禮曹)였는데, 예조에서는 8도의 관찰사(觀察使)를 통하여 행정적으로 지휘하고 감독하였다. 관찰사는 다시 각 수령(守令)을 통하여 정부의 교육방침 ... 를 확고히 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향촌사회에서의 수령권 강화를 위해서 부민고소금지법(部民告訴禁止法)과 구임법(久任法)을 시행하여 향촌 재지사족들에 대한 억압과 견제를 제도적으로 보장
었다. 감사는 소관지역을 순력하여 수령의 치적을 공정하게 고과하고 등급을 정하여 연 2회 국왕에게 계문하였다.고과의 기준은 守令七事(수령칠사)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고, 밀봉된 고과표 ... 制(면리제)가 점차 정착되어 갔다. 또한 종래의 안렴사와 監務(감무)를 2품 이상의 觀察使(관찰사)와 士類(사류) 출신의 현감으로 대치하는 등 감사와 수령의 직급을 올리고 外官久任法 ... 으로 나아갔다. 그 결과 지방 통치는 군현을 중심으로 전개되었고 지방 행정은 수령을 중심으로 행해졌다. 邑格(읍격)과 수령의 직급은 여러 단계로 구분되었으나 행정체계상으로는 모두
하였다. 수명향교(修明鄕校)는 수령칠사(守令七事)의 하나로서, 학교가 몇 칸인데 수치한 칸은 몇 칸인가, 또 생도는 몇 명인데 책을 읽은 자는 몇 명인가, 경서에 능통한 자는 몇 명인가 하 ... 堂)이라고 하는 초등교육기관도 있었는데, 소학당은 수령이나 향중사림의 주선으로 설치 운영되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고을에 따라서는 양사재(養士齋), 흥학당(興學堂), 득영재 ... (得英齋), 사마재(司馬齋) 등의 이름으로 교육기관을 향교 부근에 병설하여 운영하기도 하였다.(3) 각 지역의 향교에 대해서 국가는 수령을 통해 지속적으로 장학정책을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