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으로 전개하고 벌코프를 비롯한 개혁주의 신학자들의 주장과 차이점을 쓰고자 한다.우리는 세상에 살면서 죽음을 직면하지만, 죽음을 인식하지 못하고 살아간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에 대 ... -------------------------- 12Ⅰ.서론필자는 박형룡박사 저작전집Ⅶ 교의신학 내세론을 배우면서 내세론 중, 제1장의 내용 중심으로 “성도의 죽음”에 대해서 집중
하다. 이는 박형룡 박사가 루이스 벌코프의 조직신학과 비교해 보면 구체적으로 드러나는 바, 박형룡 박사의 ‘교의신학’의 독창성과 외형상으로도 벌콥의 ‘조직신학’의 3-4배에 이르 ... 개혁신앙과 교회제 1 장 개혁신앙을 위한 교회♧ 조직 신학자 박형룡 박사의 신학과 사상대학자였던 박형룡 박사의 신학과 사상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기에 새로운 평가가 필요 ... 하다.박형룡 박사의 신학은 평양 숭실 전문학교에서 시작되어 중국 금릉 대학을 거쳐 역사적 개혁주의, 정통칼빈주의 신학을 따르고 있었던 구 프린스톤 신학을 통해 형성된다.특별히 1920
하고 있습니다.이처럼 이성적인 증명들에 대하여 루이스 벌코프는 이렇게 설명하였습니다.“이성적인 증명들을 평가할 때 우선 신자들에게는 이 증명들이 필요 없다는 사실이 지적되어야 한다 ... 지식추구가 표출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처럼 인간에게 나타나는 하나님의 관념에 대하여 박형룡 박사는 3가지의 하나님 관념의 기원을 소개하였습니다. 첫째가 초 ... 하게 만드는 지름길인 것입니다.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하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서 알 수 있을까요?이에 대하여 루이스 벌코프는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이성적인 증명들을 언급함으로 소개
며, ’이러한 시도가 실패 할 수밖에 없는 것은, 구약이 ‘스올’을 악한자의 형벌의 장소라고 말하면서도 이런 구분의 흔적은 전혀 보여 주지 않기 때문이다.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 신약의 신자들은 구약의 신자들보다 더 큰 복을 받아 즉시 천국의 복락으로 들어가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권수경, 이수경 옮김, 9534) 지옥을 가리키 ... 에서 보는 것처럼 ‘스올’ 은 실제로 ‘샤이밈’(하늘)과 대비되고 있다. 루이스 벌코프, 조직신학, 권수경, 이수경 옮김, 9535) 음부에 내려가는 주체는 정확히 무엇인가?이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