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된 현량과(賢良科)라는 추천제도를 통해 김식·김정(金淨) 등이 언론·문필의 요직에 대거 등용되었다. 또한 『이륜행실』과 『언해여씨향약』 등의 서적을 인쇄·반포하고 도교의 제사 ... 에서 김종직의 문하생으로 사관이었던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이 이극돈의 사적인 비행, 즉 그가 세조비의 국상 때 전라감사로 있으면서 근신하지 않고 장흥의 기생과 어울렸
를 통해 김식·김정(金淨) 등이 언론·문필의 요직에 대거 등용되었다. 또한 『이륜행실』과 『언해여씨향약』 등의 서적을 인쇄·반포하고 도교의 제사를 맡아보는 소격서(昭格署)를 폐지 ... )이 임명됨으로써 촉발되었다. 『성종실록』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김종직의 문하생으로 사관이었던 김일손(金馹孫, 1464∼1498)이 이극돈의 사적인 비행, 즉 그가 세조비의 국상 때
으로서 그의 의도를 펴기 시작하였다. 이해 장경왕후(章敬王后, 중종의 제1계비)가 죽자 조정에서는 계비 책봉문제가 거론되기에 이르렀다. 이 때 순창군수 김정(金淨), 담양부사 박상(朴祥 ... 던 김굉필(金宏弼)에게 수학하였다. 학문은 , 등을 토대로 하여 이를 경전연구에 응용하였으며, 이때부터 성리학연구에 힘써 김종직(金宗直)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士林派)의 영수가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