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그러나 부족한 면도 없지 않아 있다.그 첫 번째는 상언(上言)이나 격쟁(擊錚)의 내용이 좀 더 자세하게 나와 있지 않다는 것이다. 임금의 행차 목적 중에 하나는 백성들의 목소리 ... 에서 저자는 말하고 있다.이 상언이나 격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설명되어 있지 않아 독자들의 공감을 사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그 예를 조사해 보면 "1780년 행렬 앞에 서 있던 파주 ... 이자를 감면하고...."김문식(金文植),1997,'18세기 후반 정조능행의 의의'(한국학보)88 중 p54부분 재인용등을 격쟁, 상언의 내용으로 볼 수 있다.두 번째로 '원행을묘정리
이 있었지만, 그 수혜자와 숫자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한 것이 바로 상언(上言)?격쟁(擊錚)제도의 활용이다. 민의(民意)의 수렴을 위해 대민접촉(對民 ... 민인(民人)을 대면하였고, 민원(民寃) 사항을 청취하고 이를 해결하였다. 정조는 민인이 자신에게 직접 접근하는 것을 개방하고 또 조장하였으며, 특히 상언?격쟁을 통해 민원을 광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