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고 유가사상을 국가의 공식적이고 지도적인 정치이념, 사회윤리로 채택하려했던 新儒學이라고 불리는 중당 이후의 새로운 유가사상을 말한다. 致用이란 궁극적으로 유가사상을 구체적인 정치 ... 사회적 현실에 적용하여 관료체제를 안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뜻한다. 이런 배경 아래 한유로부터 형성되었던 新儒學의 흐름은 宋代에 들어와 程顥/程 /朱熹 등에 의해 고도로 발달 ... 시하게 하는 풍조를 낳음.→李攀龍과 王世貞 : 李攀龍은 복고적인 문학관을 한층 극단화시켜 산문에 있어서는 先秦時代와 漢代의 散文, 詩에 있어서는 盛唐의 詩 이외의 작품은 읽을 가치도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