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한 『經濟六典』이 있었고, 이어서 그 뒤 1413년(태종13년)에 河崙 등이 「『經濟六典續錄』을 1428년(世宗10년)에 李稷 등이 『新續六典騰錄』을, 1433년(世宗15년 ... 은 朝鮮時代의 法典의 기본 틀이 되었다. 계속적으로 변화 발전하는 사회에 맞추어 規制하기 위한 法典의 補完이 必要하게 되어, 1492년(成宗23年)에 『經國大典續錄』, 1543년(中宗 ... 지만, 朝鮮왕조의 건국 이념을 제시 정리 한 것으로, 뒤에 『經濟六典』과 『六典謄錄』 등을 거쳐, 成宗때 『經國大典』이 편찬되는데 모체가 되었다.2 . 經濟六典朝鮮 시대의 최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