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을 쟁취하기 위해 그들의 생명을 담보로 삼았다. 그러한 피맺힌 절규를 서구의 모습으로만 단정지을 수 있을까? 백여년전 이 땅의 민중을 구하고 외세의 침략을 배격하자던 동학농민혁명 ... , 5·18 광주민주화운동, 6·10항쟁 등 이러한 한국의 근·현대사의 흐름을 주도한 사건들은 모두 "빵"과 "자유"를 얻기 위한 노력들이었던 것이다. 더욱이 선성장, 후분배의 고집 ... 시작하였다.5). 1990년대1993년 들어 직업훈련을 노동부에서 일괄 담당하도록 하였으며, 1996년도에는 차등급여제의 도입, 인문계고교 학생에 대한 수업료 지원과 자활지원센터
로 돌아가는 묘한 기분을 느꼈다. 새내기시절에 태백산맥을 끼고 다니면서 버스 안에서도 읽고 수업시간 뒷자리에서 몰래 읽던 그 기분을.... 그때의 기분을 되살려서 이 과제를 쓰려고 많이 ... 노력했다.먼저 태백산맥에서 제일 안타까운 부분은 우리 농민들의 현실이었다. 그들은 일제치하 35년 동안 많은 고통과 설움 속에서 나날을 보내야 했다. 일본의 토지조사사업으로 농토 ... 다. 조선말기의 동학운동을 보더라도 그 당시 민중들 스스로 얼마든지 지주에 대항하여 싸울 의식이 존재하고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즉 사회주의가 개입되지 않았더라도 그런 착취
들의 현실적인 측면만을 고려한 표면에 불과하다. 과거를 무시한 현실이 존재할 수 있을까? 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하게 하는 대목이다.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말씀하신 "일본은 참 불쌍 ... 토지를 획득할 수 있었고, 농민들의 소작쟁의를 일제가 막아주었기 때문이었다.서민 가운데에도 친일파가 적지 않게 배출된다. 근대적 민족의식을 미처 갖추지 못한 서민들 중에 출세와 부 ... 을 위하여 식민지가 되는 것이 오히려 좋은 일이다"라고 하며 일제의 한국침략을 요구하였다.친일단체로는 윤시병등이 유신회를 조직하였고, 일본의 회유에 넘어간 동학의 이용구는 진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