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⑤ 뇌실단락술(ventriculoperitoneal/ventriculoatrial shunt) : 만성 수두증은 복막강이나 심방내로 측로를 설치한다. 절개부위의 압박을 피하도록 하 ... 혈관조영술을 실시한다고 하였다. 뇌혈관조영술은 뇌동맥류의 확진 방법이지만 15-20%에서는 뇌혈관조영술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약 2주후에 재촬영을 실시하여 재확인 ... 하여야 한다.크기가 큰 경우는 뇌CT나 MRI에서도 확인되는 경우가 있는데, 치료를 위해서는 정확한 발생부위와 주위혈관과의 관계 등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뇌혈관조영술이 필요
가 -2명 꼴로 여러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단락술후의 합병증으로는 급속한 뇌척수액의 배액으로 인한 뇌실질의 허탈(뇌실이 줄어들면서 뇌조직이 쭈그러드는 듯한 변화를 보이는 현상 ... 게는 균감염에 의하여 가성 낭종(복막강 내에서 염증 반응에 따른 낭종 형성)등이 생길 수 있다. 기능부전에는 여러 원인이 있는데 단락장치의 근위부나 원위부가 막히는 것, 연결부위 ... 이 차게 되면 보행장애, 소변장애 및 치매증상(기억력 감퇴..) 등이 연속적으로 생길 수 있다.{▷ 뇌척수액의 생리뇌척수액은 대부분 뇌실의 맥락총이란 곳에서 만들어지며 그 양은 1분당
의행하는 수술7 뇌실-복강 단락술(Ventriculo-Pritoneal shunt)- 뇌실로부터 생성된 뇌척수액이 빠져나가는 길이 막히거나 좁아져서 증상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 ... 과 뇌막사이에 생긴 경막외출혈, 뇌막 중에서도 경막 아래에 생긴 경막하출혈, 지주막하 공간에 생긴 지주막하출혈, 뇌실에 생긴 뇌실내출혈로 나눌 수 있다.{A. 두개골 B. 경막(dura ... ubarachnoid space)1. 뇌내출혈(intracerebral hemorrhage, ICH){(1) 정의뇌실질내에 일어나는 출혈을 말하며 뇌출혈에는 뇌동맥류, 뇌동정맥기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