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는 아 승세를 타는 듯 했으나 왜군의 전술에 말려들어 대패하고 경성으로 들어가려다가 생포되었다.) 李肯翊, 《燃藜室記述》 卷15 宣祖朝故事本末 北道之陷鄭文孚收復.한편, 宣祖 25年 ... 에 피난하고 있던 전 감사 이성임을 찾아가 함께 의병을 일으킬 것을 약속하고 경원부사 오응태·경흥부사 나정언·수성찰방 최동망과, 유배인 한백겸·나덕명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켜 경성
(1592) 4월 임진왜란이 시작되자 조선은 20여 일만에 서울이 함락되는 등 참패를 면치 못했다. 당시의 왜군은 병력이나 전술·무기 등이 조선보다 우세하였기 때문에 왜군을 물리치기 ... 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비로소 체계적인 군대조직으로 정비되기 시작한 듯하다. 조선 전기에는 지방의 군사력으로서 영진군(營鎭軍)과 수성군(守城軍) 등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지만, 이
으로서 무정(無情)과 복성론(複性論)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바로 ‘수성반덕이복초론(修性反德而複初論)’이며, 장자 내편(內篇)의 소요유(逍遙遊)와 제물론(齊物論), 양생주(養生主) 등 ... 했고, 배수진(背水陣)의 전술로 그 능력을 확인시켰던 한신은 난세의 영웅인 항우의 초군(楚軍)에게 연패하던 유방으로 하여금 패권(覇權)을 차지하게 만든 1등공신이었습니다.하지만 미인박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