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아동(兒童)은 우리의 미래이다. 우리를 이끌어 갈 존재로 자라야 하므로 우리 사회는 이들을 미래 사회의 행복한 구성원이며 뛰어난 지도자로 자랄 수 있도록 보호․양육하고 계발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대 사회가 많은 사회 발전을 이룩한 한편 다양한 사회 문제를 야기해 오고 있다. 이러한 사회 변화들은 아동이 자라나는 환경이 되어 아동들의 성장․발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복잡하고 다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부모의 이혼, 사망과 같은 불안정한 가정환경으로 인해 성인들이 아이들을 유기․방임하는 아동학대문제, 한부모의 양육아래 정신적․경제적으로 어렵게 살아가는 한부모가정의 아동문제, 집단따돌림 문제 등 여러가지 많은 아동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발표문에서는 아동과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문제의 현황 및 문제점, 아동문제의 사회복지대책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아동이란
1) 아동의 개념
국어사전적 의미로는 어린이를 대접하여 일컫는 말을 아동(兒童)이라 한다. 좀 더 구체적
인 분석을 위해 아동의 어원을 살펴보면, ‘아(兒)’는 ‘숨구멍 신(臼)’과 ‘사람 인(人)’의 결
합으로 정수리가 채 굳지 않아서 숨 쉴 적마다 숨구멍이 발딱발딱 뛰는 어린아이, 또는 한
사람 몫의 상태가 되지 않은 아이를 의미하며, ‘동(童)’은 ‘무거울 중(重)’과 ‘죄를 뜻하는
신(辛)’의 결합으로 중죄를 짓고 관직을 박탈당하여 노예가 된 자로서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은 자를 의미한다. 즉, 아동이란 아직 성숙하지 않은 자로서 보호하고 다스려할
대상의 자를 의미하며, 이는 곧 자립(自立)하지 않은 인간, 또는 자립을 준비하고 있는 인
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아동 및 청소년 관련 법제도에 있어서 각각의 법률과 제도는 아동, 청소년, 소년, 미성년 등의 개념을 규정하고 있다.
· -공계순 외 4명, 아동복지론: 제8장. 아동학대, 학지사, 2008
· -권육상 외, 아동복지론, 유풍출판사, 2004, [pp.18~28]
· -권육상 외, 아동복지론, 유풍출판사, 2004, [pp.109~111]
· -김익균, 고승덕, 최찬호, 이행숙 공저, 아동복지론, 대학출판사, 2001, [pp.322~]
· -도미향 외, 아동복지론, 공동체, 2006, [pp.17~19]
· -박인전, 아동복지론: 제11장. 따돌림 아동을 위한 복지실천, (주)교문사, 2006,
· [pp.218~226]
· -박인전, 아동복지론: 제16장. 방임 및 학대받는 아동을 위한 복지실천, (주)교문사, 2006, [pp.396~400]
· -박정문, 아동복지와 보육사업의 이해, 보육사, 2000, [pp.17~48]
· -성영혜, 김연진 공저, 아동복지의 이론과 실제, 동문사, 2002, [pp.248~253]
· -윤혜미 외, 아동복지론, 청목출판사, 2005, [pp.18~20]
· -이순형,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06, [pp.286~299]
· -이원숙, 가족복지론 ,학지사, 2006, [pp.169~228]
· -이혜원, 아동권리와 아동복지, 집문당, 2006, [pp.33~38]
· -전남련, 아동복지, 형설출판사, 2003, [pp.13~17]
· -전정태, 노인 아동 복지론, 학이당, 2003, [pp.325~383]
· -주수길, 주명국 공저, 아동복지강론, 양서원, 2007
· -표갑수, “아동학대의 원인론과 대처방안”,「한국아동복지학」, 한국아동복지학회 창간호,
· 1993. [pp.158]
·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문선화외3명 공저 양서원 [pp.194~195]
· -한국사회와 아동복지 문선화외3명 공저 양서원 [pp.207~220]
· -한미현, 강희경, 공인숙, 김상희, 문혁준 공저, 아동복지, 창지사, 2007, [pp.20~38]
· -홍준표, 집단 따돌림의 진단과 치료방안, 집문당,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