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력은 다양하게 유형화 할 수 있다. 폭력의 성질에 따라서, 신체적 폭력. 정서적 폭력, 성적 폭력, 언어적 폭력, 물질적 폭력, 의학적 폭력, 방임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폭력 피해 대상자에 따라 아동폭력, 노인폭력, 아내 폭력, 학교 폭력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폭력이 발생하는 공간에 따라 가정폭력, 학교폭력, 직장폭력, 군 폭력, 사이버 폭력 등으로도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폭력은 한 개인에게 심각한 위기로 작용한다. 위기는 그 위기 상태를 촉발시키는 특징에 따라서 상황적 위기, 발달적 위기, 실존적 위기로 구분되며, 최근에는 사회문화적 위기의 개념까지 포함되었다. 폭력의 피해자의 경우 신체적, 정신적 외상을 동반하는 상황적 위기이면서도, 폭력을 허용하거나 묵인하는 사회문화적 원천으로부터 발생하는 위기이기도 하다.
일반적으로 위기에 처했을 때, 혼돈․ 걱정․ 절망․ 분노와 같은 감정을 동반하는 격심한 정서적 혼란 상태를 겪으며, 위기에 처한 개인은 심리적 취약성의 약화, 방어기제의 위축, 문제해결 및 대처능력의 심각한 와해를 경험한다.
따라서 폭력의 피해대상자가 처한 위기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손상을 입음으로써 스스로 대처할 수 없는 상황이며, 즉각적인 위기개입서비스를 통해 위기에 처한 대상자를 원조해야 한다. (유해선,2004)
이에 우리는 먼저 개인이 겪을 수 있는 다양한 폭력의 유형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폭력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폭력에 의해 촉발된 위기를 겪은 위기환자의 구제를 위한 위기개입 서비스에 대해서 상세히 알아보려 한다.
1. 조사의 틀
우리는 본론에서 폭력이 일어나는 공간을 중심으로 폭력의 유형을 나누어 설명하였다.
첫째로, 가정에서 일어나는 폭력이다. 이 범주 안에 아동 폭력, 배우자 폭력, 노인 폭력의 전반적인 내용을 소개한 이후에, 전반적인 가정폭력의 위기개입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둘째로, 가정을 제외한 사회에서 일어나는 폭력이다. 사이버폭력, 군폭력, 성폭력을 소개하고, 이 3개의 유형 중에 위기개입의 연구가 가장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대표적인 분야 인 성폭력에 대한 개입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 ● 허남순, 1992, “아동학대의 실태 및 대책”, 한국아동복지학회
· ● 보건복지부, 200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대승사
· ● 김기태, 2006, 위기개입론,
· ● 이인숙,2005,“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위기개입서비스 연계망 모형 개발”.
· ● 이영석,임경희 ,2004 “가정폭력 위기개입 프로그램의 성과와 과제”,경북여성정책개발원
· ● 가정폭력 상담원의 위기개입 기술과 영향요인 분석
· ● 김재엽,1999, “한국 가정폭력 실태와 사회계층 변인과의 관계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 ● 박혜영,2002, “가정폭력의 실태분석과 사회 복지적 개입 방안에 관한 연구 : 가정폭력상담내용분석을 통하여” ,신라대학교
· ● 한은주‧김태현, 2000, “노인학대의 원인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Vol.20
· ● 알란 켐프, 2001, “가족학대․가족폭력”, 나남출판
· ● 김기태외 4명, 2002, “노인복지실천론”, 양서원
· ● 신평섭, 2003, “노인의 위기대처를 위한 목회상담론적 사례분석”, 서울:숭실대기독교학대학원 200308 발행
· ● 이연호, 2003, “학대 경험노인의 심리:사회적 피해에 대한 가족관련 위험요인의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제11호
· ● 나용선, 2004, “노인학대 개입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노인학대 가해 및 피해상황 관련요인 분석”, 사회복지실천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Vol.4
· ● 보건복지부 노인지원팀, 2006, “보건복지부 06년도 상반기 노인학대 사례 분석결과 발표” ,9월 18일(월)석간 보도자료 (http://www.mohw.go.kr/)
· ● 이연호, 2004, “한국노인학대 개입의 사회복지 서비스 확대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인간관계학보」 제9권 제1호
· ● 임윤형, 2004, “학대노인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 연구”, 서울 : 서강대 신학대학원, 200502-제어번호 KDMT1200551121
· ● 강선경·임윤형, 2005, “학대노인에 대한 사례관리 개입에 관한 연구 -단일사례분석”, 한국노인복지학회「노인복지연구」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vol.30
· ● 김한곤․김지아, 2006, “대구지역 노인학대 실태 및 피해자의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 제19집
· ● 서윤, “노인학대의 개요와 대처방법”, 한국노인학대연구회
· (http://www.elderabuse.or.kr/index/about.htm : 노인학대강의자료 게시판)
· ● 한동희, “노인학대 근본적 문제는 무엇인가?”, INPEA(세계노인학대방지법), 한국대표 노인생활과학연구소장, 한국노인학대방지정보
· (http://wellageing.com/kinpea/zb/bbs/view.php?id=data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5)
· ● 조선일보 2007.7.17일 기사 WHO "2002년, 160 만명 폭력 관련 사망.“
· ● 박선영, 2005, “영상매체의 폭력성이 청소년 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유해선, 2004, “가정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위기개입 서비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 ● 박병식, 1999, “스토킹, 그 예방과 대책”.
· ● 정보통신윤리위원회,2005, 사이버명예훼손․성폭력 상담사례집
· ● 박훤일, 2006,“사이버폭력의 實態 및 對應方案에 관한 考察”
· ● 윤경윤, 2006, “청소년의 사이버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 ● 이창호, 2006, “사이버 폭력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2005, “사이버 폭력 피해 사례 및 예방 안내서 ”
·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자료마당. “음란물로 인한 부작용 ”
· ● 한국 여성정책연구소, 1998, 성폭력이 실태 및 대책에 관한 연구
· ● 이원숙, 2001,“성폭력과 사회복지”,강남대출판부
· ● 이원숙, 2003,“성폭력과 상담”,학지사
· ● 수원대학교 교지편집위원회, 2005, “캠퍼스 내 성폭력”,수원대학교
· ● 한국 성폭력상담소, 2006, 성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