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수(2000), "영화선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광고, 비평, 그리고 기대개념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 광고연구 48(2000.9) pp.139-164
· 박조원(2003), 영화 홍보와 관객 동원에 관한 연구:신문 보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 경제 학회 "문화 경제연구" 제 7권 제 1호 2004년 6월 호 .16p
· 전범수(2002), 영화관람객의 영화 정보채널 유형별 특성: 인터넷, 대인, 기존미디어 채널의 비교,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ㅣ 46권 3호, 26p
· 박조원 (2004), "영화 관련 신문 보도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사의 양, 게재 시기,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한국언론학보 | 48권 6호 , 2004 ,23p
· 이공섭(1998), 관여도와 제품 유형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상품학 연구〉, 제19호, 141-168.
· 윤희중 차희원(1998), 서베이 중심의 2차적 공중의 관여도와 정보행동 및 매체선택 행동에 관한 연구,〈홍보학 연구〉, 제2호, 2-31.
· 전범수(2003), 국내 영화 관람객의 영화 소비행동,〈한국 방송학보〉, 제17-2호,297-325.
· 양윤 조문주(2000),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광고학연구〉, 제11-3, 7-34.
· 전인수 배일현(2000), 영화 비평이 관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홍익대학교 경영연구〉, 제25호, 155-177.
· 허은정 이기춘(1992), 소비자 정보추구와 대안의 평가속성 및 구매평가,〈소비자학 연구〉, 제3-1호, 64-79.
· 황의록 김창호(1995), 구전커뮤니케이션에 관한 문헌연구,〈광고연구〉, 제26호,55-84
· 김은미(2000), 자국영화와 해외 영화의 경쟁에 관한 연구: 영상물의 창구화와 관련하여,〈한국 언론학연구〉, 제2호, pp.6-28.
· (2003),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한국 언론학보〉, 제42-2호,190-220.
· 김성훈(2003), 제품 관여도 및 제품 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광고학 연구〉, 제 14-1호, 257-280.
· 김황동(2000), 소비자와 제품 특성 및 관여도가 상표전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산업경제연구〉, 제13-4, 445-468.
· 문병준 손용석(2000), 인터넷을 통한 소비자 정보탐색 및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소비자학 연구〉, 제11-4호, 131-150.
· 도경남(1998), 소비자특성과 정보특성에 따른 구전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광고연구〉, 제41호, 193-211.
· 영화진흥위원회(2003), 1999~2003 한국 영화 관람객의 성향과 변화 분석.
· 유현석(2002), 한국영화의 흥행 요인에 관한 연구: 제작관련 변수를 중심으로,〈한국언론학보〉, 제46-3호, 183-213.
· 이수연(2004), 정보원과 관여도에 따른 TV홈쇼핑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전범수(2002), 영화관람객의 영화정보채널 유형별 특성,〈한국 언론학보〉,제46-3호,390-413.
· 박찬욱 문병준(2000), 관여도와 제품지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제품 유형과 제품지식 측정 방법의 조정적 역할을 중심으로,〈소비자학 연구〉, 제11-1호, 7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