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정지용 시에 대한 연구는 그 업적이 상당히 축적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시사적 비중에 비추어 볼 때 아직 미흡하다고 볼 수 있다. 그간의 연구를 보면 그의 작품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한 통시적이고 총체적인 연구보다는 부분적인 작품들과 특징들을 토대로 한 유파적 성격 규정이 앞섰고, 시사적 의미 정립을 위한 연역적 판단이 선행되어, 그것이 확인 없이 통설로 받아들여진 경우도 없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이 작품의 구체적인 해명과 전체적인 조망을 통해 근거를 가지고 정확히 규정될 때, 정지용 시세계의 시사적 의미가 좀 더 확고해지리라 생각된다.
1920년대 후반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정지용은 『시문학파』의 핵심적인 일원이었으며, 가장 각광받는 모더니스트로서, 1930년대 시의 전반적인 특징을 극명하게 드러내면서 한국 현대시의 획기적인 전환을 실질적으로 주도해 나간 시인이었다. 또한 그는 『시문학파』나 모더니스트로서의 틀 속에만 제한되지 아니하고 우리 시의 가능성을 실험하면서 새로운 모범과 함께 문제를 제기하며 끊임없이 면모해간 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 시에 대한 일반적 통념은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진다. 첫 번째 범주는 정지용 시의 전반적인 특성에 관한 것으로 주로 시어의 조탁과 세련에 주목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 범주는 정지용시가 감각적 이미지즘의 시, 카톨리즘을 바탕으로 한 종교시, 절제의 동양정신을 드러낸 고전주의적 시의 단계로 변모해 왔다고 규정하는 경우이다.
그러나 문제는 정지용시에서 보인 세련된 감각과 비유, 그리고 변모과정의 기본구도가 정지용시의 탁월함을 가리키는 것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시에 있어 언어의 조탁이란 분명 좋은 시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것이고 시사적 맥락에서 정당한 의의를 부여받을 수 있는 것이지만 그것만을 정지용시의 가치평가의 표지로 삼을 수는 없는 일이다. 시의 내재분석이 운율과 비유의 구조를 섬세하게 해명하고, 나아가 시에 고유한 분위기를 보존하는 데까지 이루도록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 강화신,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 연구」, 대전대 석사학위논문, 2002.
· 김기림, 「1933년 시단의 회고」, 『김기림 전집 2시론』, 심설당, 1988.
· 김동석, 「시를 위한 시」, 예술과 생활, 박문출판사, 1947.
· 김용직, 「시문학파연구」, 한국현대시 연구, 일지사, 1982.
· 김윤식. 「 장서언론 하」, 『현대시학』, 1970. 3.
· 김인환, 『한국문학이론의 연구』, 을유문화사, 1986.
· 김종철, 『시와 역사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78.
· 김학동, 『정지용 연구』, 민음사, 1987.
· 양승준, 『한국현대시 500선 상』, 월인, 2004.
· 양왕용, 『정지용 시 연구』, 삼지원, 1988, 112면.
· 오순옥, 「정지용 시의 변모과정 연구」, 경북대 석사학위논문, 1991.
· 이병각, 「예술과 창조」, 조선일보, 1936. 6.5.
· 이양하, 「바라든 지용 시집」, 조선일보, 1935. 12. 8.
· 이진영, 「정지용의 시의식 변모양상」,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0.
· 이해문, 「중견시인론」, 『시인춘추』 제2집, 1938. 1.
· 임 화, 「담천하의 시단 일 년」, 신동아, 1935. 12.
· 장도준, 『정지용 시 연구』, 태학사, 1994, 190면.
· 정지용, 『문학독본』, 민음사,1988.
· 정지용, 『한국대표시인100인선집9 정지용 시선ㆍ향수』, 미래사, 1991, 17면.
· 정지용, 『휘문』, 임시호, 1942.
· 정의홍, 『정지용 시의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74.
· 조연현, 「수공예술의 생명」, 평화신문, 1948. 12. 18.
· 진선화, 「정지용의 시의식 변모과정」,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애숙,「정지용 동시 연구」, 교원대 석사학위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