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천연 항산화제로서 로즈마리 추출물의 효능과 전망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전공 09년 학사학위 논문입니다. 로즈마리의 항산화성분을 연구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쓴 리뷰논문 형식입니다. 로즈마리의 천연항산화제 연구에 대해 깊이 참고하고 싶으신 분들께 좋을 것입니다. 참고문헌도 상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12.07 최종저작일 2008.11
12P 미리보기
천연 항산화제로서 로즈마리 추출물의 효능과 전망
  • 미리보기

    소개

    성균관대학교 식품생명공학전공 09년 학사학위 논문입니다.
    로즈마리의 항산화성분을 연구한 논문들을 참고하여 쓴 리뷰논문 형식입니다.
    로즈마리의 천연항산화제 연구에 대해 깊이 참고하고 싶으신 분들께 좋을 것입니다.
    참고문헌도 상세히 소개되어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활성산소 (Free radical)와 항산화제 (Anti oxidant)
    2. 로즈마리의 항산화 효과와 성분
    3. 항산화능을 측정하는 방법
    4. 각종 식품에서 로즈마리의 항산화 효능
    5. 로즈마리 항산화 성분의 전망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론

    식품은 제조 이후 시간이 지날수록 변패 및 그 품질의 저하가 일어난다. 이러한 변패에는 식품을 구성하는 다양한 생화학 성분들의 변화가 원인이 된다. 그중 지질의 산화는 식품의 품질과 영양가 등이 저하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불포화 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식품은 특히 쉽게 산화되어 과산화물을 형성하고, 산화분해와 중합반응에 의해 산패취를 발생시키며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독성을 나타낸다 이호연.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green tea and rosemary extract.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식품생물공학과. (2007)
    Augustin, M. A. : Efficacy of the antioxidants BHA and BHT in palm olein during heating and frying, J. Am. Oil Chem. Soc., 60. (1528)
    . 활성산소는 보통 강력한 반응성을 가진 물질들로 세포내의 다양한 기관을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의 독성을 억제하기 위한 산화방지제로는 아스코르빈산,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플라보노이드,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 인지질 등의 천연 항산화제와 buytylated hydroxy anisol (BHA) 및 butylated hydroxy toluene (BHT) 등 합성 항산화제가 있다 조영제, 김정환, 윤소정, 천성숙, 최응규.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7, No. 6, pp. 970~975. (2005)
    .
    그런데 최근 전세계적으로 합성 식품첨가물에 대해 안전성과 사용 규정들이 다시 검토되면서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대두되고 있다. 합성 항산화제의 독성에 대한 연구는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으며, `Food Chemical News`(1976)에 따르면, 폐나 위장관 점막같은 조직과 간에 미치는 BHT의 유해성이 FDA에 보고된 바 있었다. 그로 인해서 전 세계적으로 페놀계 항산화제의 법적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그 사용이 기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효과나 안정성에서 사용상의 제약이 따르지 않고 항산화력이 강한 천연유래의 항산화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식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천연 항산화제 중 향신료의 성분들이 각종 식품에 보존성을 부여하고, 지방질 성분의 산화를 억제해준다는 사실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그러한 향신료 중에서도 로즈마리는 매우 강한 항산화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안채경, 한대석, 이영경, 이영철.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카테킨과 아스코르브산의 상승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 586-592 (2005)
    이영춘, 윤종훈.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의 항산화성.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5, No. 4. pp. 351~354 (1993)
    .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L.)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인 상록관목으로 소나무 잎처럼 뾰족한 잎에 장뇌와 비슷한 산뜻하고 강한 향이 나는 허브이다. 로즈마리는 예부터 향수, 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역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제의 역할, 상큼한 향을 내는 부향제 역할, 살균작용과 항균작용 및 항산화 기능 등이 있어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자료

    · 1. 이호연. antioxidant and synergist effect of green tea and rosemary extract.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식품생물공학과. (2007)
    · 2. Augustin, M. A. : Efficacy of the antioxidants BHA and BHT in palm olein during heating and frying, J. Am. Oil Chem. Soc., 60. (1528)
    · 3. 조영제, 김정환, 윤소정, 천성숙, 최응규.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7, No. 6, pp. 970~975. (2005)
    · 4. 안채경, 한대석, 이영경, 이영철.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카테킨과 아스코르브산의 상승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5), 586-592 (2005)
    · 5. 이영춘, 윤종훈.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의 항산화성.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25, No. 4. pp. 351~354 (1993)
    · 6. Elena I, Alejandro C, Antonio LC, Francisco JS, Sofia C, Guillermo R. Combined use of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micellar electrokinetic chromatography, and reverse phase high perfo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r the analysis of antioxidants from rosemary (Rosemarinus officinalis). J. Agric. Food Chem. 48 : 4060-4065 (2000)
    · 7. 박경숙, 김종군, 이주운, 오상희, 이유석, 김장호, 김재훈, 김왕근, 변명우. 감마선 조사와 로즈마리 추출분말 병용처리가 즉석 햄버거 스테이크에 미치는 영향 : 품질 개선 효과.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4), 694~699(2004)
    · 8. Poeckel D, Greiner C, Verhoff M, Rau O, Tausch L, Hörnig C, Steinhilber D, Schubert-Zsilavecz M, Werz O. Carnosic acid and carnosol potently inhibit human 5-lipoxygenase and suppress pro-inflammatory responses of stimulated human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Biochemical Pharmacology (2008)
    · 9.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1958)
    · 10. 이재만, 장판식, 이재환. DPPH법에 의한 식용유지의 열산화 안정성 비교. Korean J. Food Scl Technol. vol. 39, No. 2. pp. 133~137 (2007)
    · 11. 오중학, 김은희, 김정례, 문영인, 강영희, 강정숙. DPPH 방법을 통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7), 1079~1084 (2004)
    · 12. 손종연, 임재호, 손흥수. 참치유의 산화 안전성에 미치는 일부 합성 및 천연 항산화제의 효과. Korean J. Food & Nutrition Vol. 8, No.2, 88~92 (1995)
    · 13. 지청일, 강진훈, 박영범, 이태기, 김선봉, 박영호. 정제정어리유에 대한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작용. Bull. Korean Fish. Soc. 25(5), pp. 325~330, (1992)
    · 14. 신택순, 문점동, 김용곤, 김영직, 박태선, 이정일, 박구부. 천연항산화제가 분쇄돈육의 지질산화에 미치는 효과.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30, No. 4, pp. 794~802 (1998)
    · 15. 박기범, 한규홍, 김병용. 아몬드 크래커의 과산화 억제에 있어서 천연 항산화제의 활용.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1). 131~136 (2003)
    · 16. 신언환, 한규홍. 천연 항산화제와 포장재질이 Waffle의 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ol. 9. No. 4, pp. 1~12 (200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