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복룡, 「해양사를 통해서 본 동북아시아의 갈등과 화해 : 신라의 삼국통일과 해양사적 의의」,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05.
· 국사편찬위원회, 「통일신라」『한국사』9, 국사편찬위원회, 1998.
· 김복순, 「당의 침공과 고구려 멸망의 고찰」『군사』13,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6.
· 김병남, 「신라의 삼국통일 의식과 그 실제」, 한국사상문화학회, 2004.
· 김영하,「신라는 삼국을 `통일`했는가;남북 역사학의 쟁점」『역사비평』10, 역사비평사, 1990.
· 김영하, 「고구려의 멸망원인, 내분인가 외침인가」『내일을 여는 역사』제 5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 김철준, 「삼국통일의 의의」『한국사』, 국사편찬위원회, 1978.
· 남동신, 「자장의 불교사상과 불교치국책」, 한국사연구회, 1992
· 변태섭, 「삼국통일의 민족사적 의미」, 동국대학교 신라문화 연구소, 1985.
· 변태섭, 「신라의 삼국통일」『한국사통론』, 삼영사, 1986.
· 성영교, 『나당전쟁사 연구』, 아세아문화사, 2006.
· 서영교,『고구려의 나라』, 글항아리, 2007.
· 신형식, 「삼국통일의 역사적 성격」, 한국하연구회, 1988.
· 신형식, 「무열왕계의 성립과 활동」『한국고대사의 신연구』, 일조각, 1990.
· 신형식,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 의미」, 한국고대학회, 1992.
· 신형식, 『신라통사』, 주류성, 2004.
· 이기백, 「상대등고」『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1974.
· 이도학,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003.
· 이병도, 『한국사』고대편, 을유문화사, 1959, p.625.
· 이용관, 「선덕여왕대 자장의 정치적 활동」『영동문화』6, 관동대학교영동문화연구소, 1995.
· 이종욱, 『고구려의 역사』, 김영사, 2005.
· 이호영, 「신라 삼국통일에 관한 재검토」, 단국사학회, 1981.
· 조한정, 「신라 선덕여왕의 왕위계승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2003.
· 井上秀雄,, 「신라정치사제도의 변환과정」『신라사기초연구』, 동출판사, 1974.
· 최범서, 『이야기 삼국시대사』, 청솔출판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