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현대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빠르고 다양한 변화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가정이 변화하고 있고, 세대간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차이는 더 심화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상황변화는 인간 삶에 있어서 여러 가지 위기의 요인이 되고 있으며, 이로 말미암아 인간은 필연적으로 삶의 위기를 당하며 살아가게 된다. 사랑하는 사람의 죽음, 기형아 자녀의 출생, 결혼생활의 파탄, 대학입시에서의 실패, 자동차 사고 그리고 천재지변으로 인한 사고 등 이 모든 사건들은 우리의 삶 전체를 뒤흔들어 놓으며 또한 우리들로 하여금 위협, 불안 혼란 그리고 우울의 감정을 가지게 만든다Gary Collins, [훌륭한 상담자], 정동섭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5, p.97.
이처럼 인간은 평생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갖가지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그러한 위기의 상황에서 그 위기를 방치하거나 방관하면서 살아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그러한 위기가 해결이 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둘 경우에는 더 큰 위기적 상황을 초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위기적 상황으로부터 기인된 상심과 슬픔의 감정이 심화되어져 우울의 감정을 낳게 되고 극단적인 경우에는 자살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인간의 위기의 극단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있는 자살에 대한 문제는 이 사회에서 더 이상 낯선 소식들만은 아니다. 현대 산업사회가 발전을 거듭할수록 비인간화의 문제와 인명 경시풍조가 만연되어지고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결국 자살에 대한 문제는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 모두가 실제적으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상황으로 번져가게 되었다. 그 원인으로는 여러 가지 많은 요인들이 있겠지만 특별히 학생들의 성적, 가장들의 실직, 노인들의 고독, 가정의 불화, 실연의 상처 등 우리도 겪을 수 있는 그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쉽게 스스로의 생명을 포기해 버리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96년도 기준으로만 해도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가 45명으로 자살율에서 네덜란드에 이어 세계 2위로 기록되어 있는 실정이다. 최근의 자살로 인한 사망자의 수에 대한 자료를 보면 91년 6,593명, 92년 7,401명, 93년 7,608명, 94년 7451명, 95년7,709명으로 갈수록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사회적 대책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수 있겠다 특별히 자살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은 극에 달해있다. 이들의 자살동기는 부모, 교사의 꾸중, 친구들의 놀림, 사소한 좌절과 욕구불만 등의 ‘정서적 문제’와 성적, 시험 등의 ‘학업문제’가 각각 20%로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윤호택, [한국인의 자살에 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 심포지움 발표논문, 1996,
· 국내서적
· 권성수 외, “자살, 성경 속에서 알아본다”, [자살], 서울: 두란노 출판사, 1991.
· 남서호, [목회상담자료백과], 서울: 포이엔, 1995.
· 맹용길 외, “생명 경시와 생명경외”, [자살], 서울: 두란노 출판사, 1991.
· 박상철 외, [자살 예방할 수 있다], 서울: 학지사, 1998.
· 박성원, [위기를 처한 자를 위한 상담방법의 연구], 서울: 장로회 신학 출판부, 1982.
· 반피득, [목회 상담학 개론],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78.
· 오성춘, [목회 상담학], 서울: 한국 장로교 출판사, 1996.
· 이관직, [목회상담학], 한국목회상담연구소, 1999.
· 이만홍 외, “청소년의 잇단 비관 자살을 보며”, [자살], 서울: 두란노 출판사, 1991.
· 이승재, [기독교 청소년 상담과 핸드북], 서울: 기독교 문서선교회, 1995.
· 원호택, [이상심리학], 서울: 법문사, 1997.
· 주계영, [크리스찬 카운셀러 핸드북], 서울: 베드로서원, 1996.
· 국외서적
· Bucanan, Duncan., [예수의 상담과 실제] , 천정웅 역, 서울: 아가페 출판사, 1987.
· Collins, Gary., [훌륭한 상담자], 정동섭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1983.
· Doman, Lum., Responding to Suicidal Crisis , Grand Rapids: Eerdmans, 1974.
· Durkheim, Emile., [자살론], 김충선 역, 서울: 청아 출판사, 1995.
· Meland, Bernard E., The future of empirical theology, Chicago:The university
· of Chicago Press, 1969.
· Patterson, C. H., [카운셀링과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김관용, 이창호 역,
· 서울 :대한 교과서주식회사, 1977.
· May, Rollo ., The Art of Counseling, Nashville: Avingdon Press, 1961.
· Stenger, Ewin. [인간은 왜 자살하는가?], 김장일 역. 서울: 조선 일보사, 1986.
· Stone, Howard. , Crisis Counseling, Philadelphia: Foptress Press, 1986.
· . , [위기상담], 오성춘 역,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6.
·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onary, Massachusetts: G and C
· Merriann Company publishers, 1965.
· Wright, Norman H., [위기 상담학], 전요섭ㆍ황동현 역, 서울:쿰란 출판사,1998.
· 논문류
· 김일재, [군 사고의 원인 분석 및 그 대책에 관한 연구],
·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82.
· 박성원, [위기를 처한 자를 위한 상담방법의 연구], 서울: 장로회신학 출판부, 1982.
· 윤호택, [한국인의 자살에 대한 연구], 한국 심리학회 심포지움 발표논문 1996.
· 이기춘, “목사와 위기 상담”, [월간목회], 1980. 10.
· 이숭녕, [현대 국어 대사전], 서울: 동아 출판사, 1975.
· 이일재, [위기 상담자로서 목회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서울신학대학 신학대학원, 1992.
· 이재순, [자살 기도자의 심리와 자살 예방에 관한 연구], 월간목회, 1981.
· 이현우, [청소년 자살과 목회 상담적 대처방안], 총신대학 신학대학원.
· 정가진, [위기 상담에 관한 연구], 서울신학대학 신학대학원, 1992.
· 정태기, [고통의 언어와 성장], 한신대논문집 서울: 한신대학 출판부, 1984.
· 정태기, “고통의 언어와 성장”, [기독교 사상], 제303호, 1980년 9월
· 정태기, “아픔과 목회상담”, [기독교 사상], 제 303권, 1983년 9월
· 황동현, [자살 우려자에 대한 위기상담], 평택대학교 대학원, 1999.
· 기타
· 국민일보, 1999. 9. 21. 19면
· 목회와 신학 [시사자료집], 서울: 두란노 출판사, 1989. 7-1992. 6
· 목회시사스크랩, 서울: 두란노 출판사, 1999 10월.
· 문화일보, 1997. 10. 8.
· 조선일보, 1992. 5. 16.
· 중앙일보, 1991. 10. 17.
· 한겨례신문, 1992. 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