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생실리포트] 코아세르베이트 관찰
- 최초 등록일
- 2008.07.01
- 최종 저작일
- 2007.05
- 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코아세르베이트 관찰 리포트입니다.
목차
Data & Results
Discussion
· Coacervate란?
· Coacervate의 형성과 pH
· 실험에서 coacervate가 관찰되지 않은 원인
<과제>
· Gum Arabic 용액
Reference
본문내용
Discussion
· Coacervate란?
오파린에 의해 제기된 가설에 등장하는 것. 그는 원시 해양 속의 단백질, 핵산, 당류 등의 유기물들이 뭉쳐 주위에 물 분자를 붙인 콜로이드 상태로 존재하였으며, 이 콜로이드 입자들이 서로 모여 막에 싸인 작은 액체 방을(액적)이 됨으로써 주위와 경계를 이루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Coacervate다. 또한 이는 원시대양 내 유기물질을 먹어치우는 종속영양생명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Coacervate는 생물이 아니며, 그 운명은 생물체로부터 추출한 효소에 의해 결정된다.
Coacervate의 형성과 pH
Coacervate는 이온과 pH를 적절하게 조절한 물에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 물질을 주입하면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pH가 적정 pH보다 높으면 고분자 물질이 액적을 아직 형성하지 못해 아무것도 관찰이 되지 않으며, 낮으면 고분자 구조에 변화가 일어나 약산성의 적정 pH에서 관찰할 수 있었던 원형의 coacervate가 아닌 찢어진 coacervate가 관찰된다. Coacervate는 주변 환경에서 물질을 선택적으로 받아들여 계속 생장하고 어느 정도 크기에 이르면 둘로 갈라져서 그 수가 증가하기도 한다. 오파린은 coacervate의 물질의 선택적 흡수, 생장 분열에 의한 수의 증가를 원시적인 물질 대사 및 세포 분열과 유사한 것으로 보고, Coacervate를 원시 생명체의 기원이라 생각하였다.
· 실험에서 coacervate가 관찰되지 않은 원인
Coacervate는 일반적으로 50℃ 가량의 고온에서 가장 잘 형성되며, 온도가 낮아질 수록 잘 형성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실험에서 gum arabic 용액과 gelatin 용액의 pH를 HCl 용액을 첨가하여 약산성으로 맞추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coacervate가 관찰되지 않은 원인은 아마도 온도가 낮았기 때문일 것이다. 용액이 약산성이 되어 뿌옇게 되었을 때, 시험관을 손으로 감싸 쥐어서 온도를 좀 더 올려보았더라면 coacervate의 관찰이 가능했을 수도 있다.
참고 자료
· 손희도 배미정, 2007, HighTop 생물II, 두산동아, p. 135
· 과학종합미디어-동아사이언스, http://www.dongascience.com/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http://www.encyber.com/
· 네이버 지식iN, http://kin.naver.com/
·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http://science.kongju.ac.kr/highschool/bio/bio2/exp24600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