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알코올 및 물질중독

알코올 및 물질중독
2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6.08 최종저작일 2008.06
28P 미리보기
알코올 및 물질중독
  • 미리보기

    소개

    알코올 및 물질중독

    목차

    1.총론
    2. 알코올관련장애
    3. 기타물질관련장애

    본문내용

    알코올이나 약물과 같은 물질들은 내적으로는 감정뿐만 아니라 외적으로 관찰될 수 있는 행동등에 영향을 미친다. 물질을 사용시 아직까지는 원인을 잘 모르고 있는 정신분열병이나 정동장애와 유사한 신경정신적인 증상을 나타내므로 정신질환과 물질 사용 장애는 관련되어 있는 것 같다. 물질 중독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생물학적이며 유전학적이고 사회적인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는 다요인적인 질환이다. 물질 사용은 개인은 물론 사회에 대해 도덕적이며 법적인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국가는 강력한 마약인 경우 법 제정을 통해 이를 통제해 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0년대에 아편, 19760년대에 대마, 1980년대에 향정신성의약품, 1980년대에 복합약물, 코카인, LSD, 날브핀 등이 문제가 되어왔다. 청소년의 경우에는 진해제인 덱스트로메토판, 지페프롤, 흡입제인 본드나 부탄등의 남용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였다. 최근에 금연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서 흡연율이 많이 줄기는 했으나, 알코올의 경우는 소비가 줄지 않고 여전히 알코올 관련 문제인 사고, 폭력, 간질환, 심혈관계질환, 음주 운전, 노동력 상실, 결근, 가정 붕괴 등의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용어
    DSM-IV-TR에서는 뇌를 변화시키는 물질을 물질substance이라고 하며 물질과 관련된 장애를 물질 관련 장애라고 한다. 약물 외에 환각이나 각성 효과를 갖는 가스, 본드, 휘발성용제 등의 화학약품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물질 의존, 물질 남용에 관해서는 잘 알려져 있는데 의존에는 행동 의존과 신체 의존 두가지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행동적인 의존에는 물질 추구 행동과 관련된 병적 사용 양상이 강조되며, 신체적인 의존은 물질을 여러 번 사용함에 따라 일어나는 신체적, 생리적 효과를 의미한다. 진단상 신체적 의존은 내성과 금단으로 나타난다. 심리적 의존이란 우울감을 피하기 위해 물질 사용에 대한 간헐적 혹은 지속적인 갈망을 의미하며 습관성habituation이라고도 한다.

    참고자료

    · www.niaaa.nih.gov NIAAA(National Institute of Alcohol Abuse and Addiction)
    · www.nida.nih.gov NIDA(National Institute of Drug Abuse)
    · www.ncadd.org NCADD(National Council on Alcohol and Drug Dependence)
    · 오동열역. 알코올리즘과 약물의존. 해리슨내과학 15판 ;2003, 2557-2577.
    · 의학, 특히 내과학에 관한 한 가장 유명한 책인 해리슨내과학이 국내에는 13판에 이어 15판이 번역 출간되었다. 특히 15판 알코올리즘과 약물의존 분야에서는 새로이 중독의 생물학이 추가되어 여태까지의 중독에 관한 기전을 명료하게 밝히고 있으며 매우 유려한 문체와 임상적인 내용으로 의과대학생이나 의사라면 알아야 할 많은 지식과 임상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Sadock BJ, Sadock VA.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ninth edi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3, 380-470
    · 정신과학적인 관점에서 알코올과 기타물질관련장애에 관해 명료하게 설명하고 있으며 특히 진단분류에 따른 임상적인 설명과 정신과학적인 치료방법에 관해 포괄적이고 상세한 설명을 곁들이고 있다.
    · Schuckit MA. Drug and Alcohol Abuse: A clinical guide to diagnosis and treatment, 5th ed. New York, Plenum ; 2000
    · 알코올리즘의 유전연구, 특히 알코올에관한 민감성이 어떻게 유전적인 영향을 받아 알코올리즘으로 진행되는지에 관한 연구 분야의 세계적인 대가이자, 해리슨내과학의 알코올리즘 분야의 저자인 미국 샌디에고대학 정신과 슈키트 교수가 직접 저술한 책으로 간결하고 매우 포괄적인 중독학에 관한 모든 지식을 담고 있다.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물질관련장애. 신경정신과학;1997, 261-304
    · 이충경.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용역연구보고서 ;2001, 189-232
    · Americal Psychiatric Association.Practical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substance use disorders. Am J Psychiatry 52(Suppl) 1995,1.
    · Ball J, Ross A. The effectiveness of methadone maintenance treatments. New York, Springer-Verlag;1991.
    · Berke JD, Hyman SE. Addiction, dopamine, 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memory. Neuron ;2000,25,515.
    · Cornish JW et al. Naltrexone pharmacotherapy for opioid dependent federal probationers. J Subst Abuse Treat ;1997,14,529.
    · Koob GF. Neuroscience of addiction. Neuron ;1985,21,467.
    · Lieber C. Medical disorder of alcoholism. N Engl J Med ;1995,333,1058.
    · Mendelson JH, Mello NK. Drug therapy:Management of cocaine abuse and dependence. N Engl J Med ;1996,334,965.
    · Nahas GG. Marihuana and medicine.Totowa, NJ, Human press ;1999
    · Project Match Research Group. Matching alcoholism treatments to client heterogeneity. J Stud Alcohol 1997,58,7.
    · National Cancer Institute. Changes in Cigarette-Related Disease Risks and their Implication for prevention and Control. Smoking and Tobacco Control Monograph No. 8 USDHHS NIH NCI, (NIH) Publication ;1997,97,4213.
    · Schuckit MA: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predictors of the alcoholism risk : A longitudinal study. J Stud Alcohol ;1985,59,485.
    ·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Health Benefits of Smoking Cessation:A Report of the Surgeon General. DHHS(CDC) Publication 90-8416, 1990:Smoking Cessation and Preventi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Number 18,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Publication, Public Health Service, DHHS ;2000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