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국어과 졸업 논문입니다.중국의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 영화나 드라마로 나와 대중에게 더 가까이 다가온 작품들을
연구하던 중 여성 작가로써 많은 의의를 가지고 있는 장애령의 반생연을 연구하였습니다.
논문발표대회에서 우수상을 탔던 작품으로 큰 도움이 되실 거라 생각됩니다.^^
목차
Ⅰ. 序 論1. 硏究動機와 目的
2. 기존의 硏究현황
Ⅱ. 作家의 生涯 및 創作 背景
1. 作家의 生涯
2. 創作 背景
Ⅲ. 《半生緣》의 人物分析
1. 사회현실로 인한 본성상실형
2. 현실 방황형 - 현실 안주형
3. 봉건적 부권 고수형
4. 운명 초월형
Ⅳ.《半生緣》을 통해 본 時代的 가치관
Ⅴ. 結 論
參考文獻
본문내용
Ⅰ. 序 論1. 연구동기와 목적
21세기에 접어들면서, 동양의 문화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그 중 중국은 오랜 역사만큼이나 수많은 문학작품들로 눈길을 끌고 있다. 중국 문학 작품들 중, 영화로 나와 우리에게 친숙한 작품들이 몇 있는데 김용의《俠客行》,《笑傲江湖》《鹿鼎記》라든가, 張愛玲의《半生緣》등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자칫 딱딱하고 이해하기 어렵다고 느낄 수 있는 중국 문학 작품들을 영화로도 널리 알려진 작품들을 통해 문학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시대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여류작가 張愛玲은 1940년대의 공산화와 항일로 이데올로기적인 성향을 띤 정치와 혁명, 전쟁에 관한 작품들만을 고수했던 다른 작가들과는 달리, 상해라는 특수한 지역에서 사랑과 혼인이라는 인간의 개인적 주제를 고수하여 자기 영역을 구축해 갔다. 이로 인하여 그 당시 문학계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어 제대로 연구조차 이루어 지지 않았지만, 80년대 이후 사회주의의 붕괴 이 후, 이론이나 관념보다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張愛玲의 작품이 현대인들에게 공감을 일으키게 되었고, 張愛玲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미희, (2003)『張愛玲 소설의 ‘전기’와 ‘《半生緣》’의 비교 연구』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본 논문에서는 張愛玲의 《半生緣》을 통해, 중국의 20세기 시대적 가치관을 살펴보고 우리 시대와 어떤 상응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작품 속의 배경이 인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고 또 어떠한 모습으로 변하는지를 살펴봄으로, 작가의 모습이 어떻게 반영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2. 기존의 연구현황
張愛玲에 대한 평가와 기존의 연구는 40년대 상해를 중심으로 하는 평론가와 문인들의 연구, 60년대부터 8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가에 미국을 비롯한 해외 학자들의 연구, 80년대 이후 개방정책의 실시로 해외 문화교류에 의해 연구되었다. 張愛玲의 출현을 문단에서 기적과 같은 일이라고 하면서 기교의 참신성과 풍부한 상상력이라는 면서 그녀의 작품에 문학적 의의를 부여하였다. 그러나 그녀의 작품내용의 빈곤함과 논리성의 부재라는 측면서 문학의 한계성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한국에서 연구현황을 보면 張愛玲에 관한 연구가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85년 선정규의 <張愛玲의 남성본위와 여성본위>의 소논문의 발표다. 1980년대 이후 국내 張愛玲 연구는 대부분 주제, 형식, 인물분석, 창작기법, 등의 방법을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張愛玲의 작품 대부분이 남녀간의 애정이나 결혼에 관한 비판과 여성들의 미묘한 심리나 감정만을 다룬다고 하여, 시대성이나 사회성의 반영이라는 관점에서 본 연구가 부족하다.
참고 자료
單行本張愛玲, 권효진 역,(1999),《半生緣》서울 : 도서출판 문일
張愛玲, (2003) 《十八春》淅江出版社
論文
장지혜, (2001)『張愛玲 장편소설《半生緣》연구』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미희, (2003)『張愛玲 소설의 ‘전기’와 ‘《半生緣》’의 비교 연구』 수원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서보경, (2004)『張愛玲 《半生緣》연구』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성희, (2005)『張愛玲 《半生緣》연구』 숭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은아, (2006)『張愛玲과 최정희 소설의 비교연구 : 1930-1940년대 소설의 여성형상을 중심으로』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張愛玲의 半生緣 -인물분석을 통한 여성의식 연구 17페이지
- [중어중문학] 장애령 분석 - 경성지련을 중심으로 12페이지
- 반생연 장애령 十八春 3페이지
- 金鎖記에 나타난 張愛玲의 여성의식 연구 12페이지
- 붉은 장미 흰 장미 紅玫瑰马白玫瑰 의 작가 장애령(张爱玲)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