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48 미군정시기의 한국현대사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8.05.18
- 최종 저작일
- 2007.12
- 7페이지/
MS 워드
- 가격 2,000원

판매자nami****
3회 판매

소개글
미군정시기의 한국현대사를 미국을 중심으로 분석하며
분단문제의 원인을 고찰한다
목차
1. 머리말
2. 한국인의 ’열정’과 미국의 정책
3. 반발: 제주반란과 여수반란
4. 분단 상황의 형성
5.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머리말
1945~1948년의 미군정(美軍政) 시기는 한국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할까. 브루스 커밍스(Bruce Cumings)는 ¡º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Korean’s Place in the Sun)』 에서 이 짧은 시기 동안에 벌어진 일들을 다른 시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지면을 할애하여 설명한다. 현재 한국을 보건대, 당시 4년은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걸쳐 거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승만 정부의 반공정책의 근거가 된 국가보안법이 아직도 남아 있고, 미국의 경제원조를 기반으로 근대 한국 경제의 기초를 수립한 경험, ‘헐리웃 문화’로 대표되는 미국 문화의 본격적 수입과 소비가 그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한반도의 가장 큰 이슈인 ‘분단문제’는 어떨까. 모든 역사적 사건이 그렇듯이 분단문제에 관해서도 어느 하나의 원인을 지목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해방 후 한국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의 이 시기에 분단상황이 형성, 고착화되었다는 사실이고, 미국이 그 가운데 있었다는 점이다.
2. 한국인의 ’열정’과 미국의 정책
이 장의 이름(‘열정’, 1945~48년)에서도 볼 수 있듯이, 커밍스는 미군정 시기를 ‘열정’이라고 표현한다. 40여 년의 식민통치에서 벗어난 1945년 해방의 순간은 분명 그러한 한국인의 ‘열정’이 표출될 수 있는 때였다. 한국인들에게 독립은 그러한 ‘열정’의 궁극적 목표였고, 그것은 38도선을 경계로 북쪽은 소련의, 남쪽은 미국의 영향력 아래 있는 형태가 아니었다.
38도선의 획정은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천황 히로히토(裕仁)가 미국에 대한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기 며칠 전, 국무•전쟁•해군 3부 조정 위원회(SWNCC)의 존 머클로이(John C. McCloy)의 지시 아래 딘 러스크(Dean Rusk)와 찰스 본스틸(Charles H. Bonesteel)이라는 두 젊은 대령에 의해 30분 만에 이루어졌다(p263). 그들이 38도선을 택한 이유는 “수도를 미국의 영역 안에 둘 수 있겠기” 때문이었다(p263). 러시아는 이 영역 분할을 아무 말 없이 받아들였고(이에 대해 미국측은 다소 놀라기까지 했다),
참고 자료
강준만, 『한국 현대사 산책, 1940년대편』 1, 2권(인물과 사상사, 2004)
강만길, 『고쳐 쓴 한국 현대사』(창작과비평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