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효과-지구온난화
- 최초 등록일
- 2008.05.05
- 최종 저작일
- 2007.10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redjs****
10회 판매

소개글
온실효과-지구온난화를 비교조사
목차
온실효과 VS.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의 원인 논쟁
지구온난화 방지대책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구온난화의 원인 논쟁>
지구의 기온상승과 기후변화에 대해서 태양의 활동변화, 화산의 활동 그리고 최근에 관심을 끌고 있는 온실효과 등 많은 이론들이 전개되어 왔다. 일부학자는 현재 일어나고 있는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는 태양의 활동이 활발해 짐에 따라 일어나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고, 또 다른 이론인 화산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이론은 화산이 분출되면서 다량 배출되는 황이 섞인 가스가 대기를 덮어 온실효과와 반대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는 것인데, 이들의 주장은 과거의 빙하기 및 기후변화가 대규모의 화산활동에 의한 것이고 엘니뇨현상도 화산활동과 관련 있다는 것이다. 지구온난화가 온실효과에 의한 것이라는 확신은 날로 강해지고 있다.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구는 열을 우주공간으로 방출해야 한다.
온실효과에 대하여는 1938년에 Callender가 연료의 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에 의해 지구의 기후가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 제기하였고, 이산화탄소만이 아니라 다른 가스들도 기후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며, 1880년에 비해 1990년도의 대기온도가 0.5 ~ 0.7℃정도 높아 졌다는 사실이다.
이산화탄소를 중심으로 메탄, 실소산화물, 프레온 가스 등 인류가 자연계로 방출하고 있는 여러 기체의 대기 중 농도가 증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온난화를 일으키는 기체는 일반적으로 {온실효과 기체}라고 한다. 이 같은 환경변화는, 인류에 의한 자연의 물질적 평형의 파괴가 열적평형의 파괴를 일으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서 이것이 인류에게 재해 형태로 나타날 때 이는 대표적인(인위적 재해)에 속하는 것이다. 이 열적평형의 파괴는 이상 기상이나 사막화의 진행을 통해 인류를 포함한 지구생태계의 평형을 파괴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오존층 파괴 못지않게 세계의 주요 관심사가 되어있다.
참고 자료
Frederick K. Lutgens ; Edward J. Tarbuck 공저; 김경렬 등역(2003). 지구시스템의 이해. 박학사.
야마모토 료이치; 김은하 옮김(2007). 지구온난화 충격리포트. 미디어월.
대학지구과학연구모임 지음(2006). 지구과학의 이해. 청문각.
박헌렬(2003). 지구온난화, 그 영향과 예방. 우용.
EBS 지구과학I 개념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