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역 (보건소 케이스)
- 최초 등록일
- 2008.04.26
- 최종 저작일
- 2008.04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홍역에 관한 리포트 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홍역의 정의
2. 원인 및감염경로
3. 발생빈도
4. 임상증상
5. 진단 및 치료와 관리
6.환자 및 접촉자 관리
7. 예방
8. 홍역의 예방접종의 대상 및 시기(M.M.R)
9. 접종 방법 및 용량
10. 홍역 예방 접종 시 유의사항
11. 백신 보관 방법
12. 국가홍역퇴치 5개년 계획
13. 보건소에서 하는 역할
14.사례판정
15.사례연구
본문내용
Ⅰ. 서론
홍역은 2회의 예방접종과 95%이상의 접종률만 유지하면 지구상에서 퇴치할 수 있는, 천연두와 소아마비에 이은 3번째 질병입니다. 홍역은 전세계적으로 매년 4,000만 명의 환자가 발생하여 1백만 명이 사망하는 질환이지만 우리 나라에서는 적극적인 예방접종으로 감소하고 있는 전염병입니다. 그러나 2000년-2001년 두 해 동안 2회 예방접종을 받지 못한 초·중등학생을 중심으로 홍역이 유행하여 약 5만 여명의 환자가 발생하였고 이중 7명의 희생자가 있었습니다. 이에 정부는 홍역퇴치사업을 하고 있는 선진국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5년 이내에 우리 나라도 홍역을 퇴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국가홍역퇴치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 계획의 일환으로 2001년부터 초등학교 취학아동을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2차 홍역 예방접종을 받고 이를 증명하도록 한 `취학 전 예방 접종력 확인사업`을 실시하여 홍역 예방 접종률이 99%까지 급상승하였습니다. 앞으로 주기적인 홍역 재 유행을 방지하고 우리 나라에서 홍역을 완전히 퇴치하기 위해서는 홍역 예방 접종률을 95%이상으로 계속 유지하는데 달려 있습니다. 2002년에 이어 2003년 취학예정 아동에 대한 2차 홍역 예방 접종력 확인사업의 목적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이에 본론에서는 홍역의 정의, 증상, 진단과 치료 등을 알아보고 홍역 예방 접종의 시기, 대상, 방법, 금기 및 주의사항 등을 알아볼 것입니다. 그리고 국가적인 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홍역 퇴치 5개년 계획에 대해 알아보고 진주시 보건소에서의 홍역예방 접종 사례 연구를 해보겠습니다.
Ⅱ. 본론
1. 홍역의 정의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전염병으로 발열, 콧물, 결막염, 홍반성 반점, 구진의 융합성 발진 및 질병 특유의 점막진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 또한 마진이라고 도 하는데 한 번 걸린 후 회복되면 평생 면역을 얻게 되어 다시 걸리지 않는다.
2. 원인 및감염경로
홍역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홍역 바이러스(More attenuated Edmonston strain)이다. 과거에는 봄/가을로 흔한 질환이었으나, 요즈음은 많이 감소하였고 계절에 관계없이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홍역 바이러스는 온도, 광선, 습도 등에 민감하여 외계에서는 장시간 살지 못하지만 감염성이 강하여 접촉자의 90%이상이 발병한다. 감염 경로는 보통 재채기, 기침등의 호흡기 분
참고 자료
1. 국립 보건원, 표준예방 접종지침, 2000, 1-111
2. 진주보건서 보건복지부 방역계 예방 접종실 자료
3. 아동간호학, 김미예 외, 수문사,1994년, 389-394
4. http://bric.postech.ac.kr/bbs/daily/krnews/200204_2/20020423_8.html
5. http://healthpolicy.netian.com/vaccine/vac_co1.htm
6. http://dis.mohw.go.kr/
7. 하정훈 소아과 http://www.babydoctor.co.kr/
8.홍역퇴치 http://measles.cdc.go.kr/condition/con_01.asp
9.예방접종 민원상담사례집 출처:질병관리본부 MMR 45~54P
10.제4기지역보건의료게획 2007-2010 246-253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