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이문(1969), 한국신무용사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눈문
· 강만길(1985), ‘한국근대사`, 창작과 비평사
· 강이향(1989), ‘생명의 춤 사랑의 춤`, 지양사
· 김근희(1980), 1945~1950기 한국신무용사연구, 한국무용학회지, 제2집
· 김나희(1991), 한국신무용의 사적위상에 대한 고찰(1905~1970년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운미(1995), 한국 근대무용사 연구 반봉건과 반제국주의의 측면을 중심으로, 무용교육학회 논문집, 제5호
· 김윤수(1975), 한국현대회화사, 한국일보사
· 김인희(1990), 조택원의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재경(1999), 한국문화사강론, 녹문당
· 김종구(1993), 사료를 통해 본 최승희의 국내무용활동, 한국미래춤학회
· 김채현(1992), 신무용의 의미와 역사적 위상, 무용저널, 한국무용가평론회
· 김천홍(1979),무용, ‘서울육백년사`, 제3집, 서울특별시
· 김철준(1993), 한국문화사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 김충한(1993), 조택원을 통한 한국 신무용 흐름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태원(1991), 춤문화론, 현대미학사
· 김현숙(1996), 신무용가 <조택원><송범>의 예술적 경향인식과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마북일(1984), 일제하 무용평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명숙(1993), 최승희가 한국현대 무용에 끼친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선욱(1993), 신무용의 개념연구, 개화기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 한국 미래 춤학회 연구논문집, 제1집
· 박은정(1993), 조택원 예술경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사애림(1997), 한국신무용 예술사상에 관한 연구 1905~1979년을 중심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연호(1993), 한국문학통사 5, 지식산업사
· 송수남(1988), 한국무용사, 금광, 한국근대춤인물사, 현대미학사
· 송혜영(1990), 최승희와 신무용의 고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아놀드 하우저 저, 황지우 역(1983), 예술사의 철학, 동베개
· 안제승(1972), 신무용의 본질과 요함기가 남긴 영향, 서울. 세기사.
· (1980), 신무용사, 국립극장 30년사, 국립극장
· (1983), 한국연극, 무용, 영화사, 대한민국 예술원,
· (1984), 한국신무용사, 승리문화사
· (1985), 한국무용사, 한국무용연극영화사, 서울 대한민국예술원
· 안재승, 안병주(1992), 무용학개론, 신원문화사
· 양효선(1988), 한국신무용사연구(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