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신원・배홍균, “e-trade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자무역 중개기관의 역할제고 방안”, 한국무역학회지 제 27권 제3호, 2002, 9
· 강원진, “전자무역거래 활성화를 위한 전자결제시스템의 요건과 과제”, 한국국제상학회 제17권 3호, 2002, 12
· 김용재, “전자무역 활성화를 위한 법과 제도 개선방안”, 전자상거래학회지 5권 1호 2004
· 나도성, “한국무엽업체의 사이버 무역 구현 및 활성화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노현수, “우리나라 전자무역의 동향과 활성화를 위한 소고”, 동의논총 40집, 2004
· 박광근, “전자무역거래의 제문제점에 관한 고찰”, 대덕대 논문집 제17호 2000
· 박문서, “서비스무역을 포괄하는 대외무역법 개정 방향”, 「통상정보연구」, 제6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4
· 산업자원부・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3 e-비즈니스 백서”, 2003
· 산업자원부・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5 e-비즈니스 백서”, 2005
· 산업자원부, “전자무역(e-트레이드) 확산 전략”, 무역정책과, 2002. 8
· 서갑성, “광주・전남지역 전자무역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통상정보연구」, 제16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4
· 양안희, “한국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수용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엄광열, 김치호, “기업정보화 실태 및 e-비즈니스 확산전략에 관한 연구-강원・춘천지역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5권, 제1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3
· 이성봉 외, “미국과 싱가포르의 전자무역 지원정책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통상정보연구 제3권 제1호, 2001
· 이창우, “전통무역의 위기와 대응방안”, 「e-commerce」, 통권 36호, 2002. 3
· 이호건, “중소무역업체의 전자무역 도입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경영연구 제24권2호 2001. 8
· 이희구, “한국 중소기업의 전자무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임광열, “강원도 무역업체 e-Trade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제6권 제2호, 한국통상정보학회, 2004
· 중소기업 수출지원센터・한국무역협회, “전자무역”, 2005
· 최동오, “중소무역업체의 전자무역시스템 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제무역연구」, 제10권 제1호, 한국국제무역학회, 2004
· 최정민,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활용을 통한 국제경쟁력 제고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세계경영대학원 국제통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2
· 최 하, “한국 전자무역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006
· 최하영, “중소기업의 전자무역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연감」, 2001
· 한국무역협회, 「무역업계의 전자무역 활용실태 조사결과」, 2002
· 한국전자거래진흥원, “국내 e-비즈니스 현황과 전망에 대한 조사”, 2003
· 한국전자거래진흥원, “글로벌 B2B워킹그룹”, 2003
· 한국통산정보학회, LORTA 용역보고서 “실크로드21 평가 및 발전전략”, 2003. 6
· <해외문헌>
· Computer Industry Almanac Inc, 2005. 3
· James E Byme, "Overview of Letter of Credit Law & Practice in 2000", Institute of International Banking Law & Practice, Inc, 2000
· <웹싸이트>
· 한국무역정보통신 폼페이지 (http://homepage.ktnet.co.kr)
· 한국무역협회 홈페이지 (http://www.kita.net)
· 현대경제연구원 홈페이지 (http://www.hr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