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주성(2005). Swiss Ball 운동이 양로원 여성 고령자의 활동체력 및 자세동요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 구현정, 이재상(2004). 고령자의 연령별 건강관련 체력 비교 분석. 한국생활환경학회지. 11(4), 241-247.
· 권혁철(1997). 골반과 하지운동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4(1), 20-29.
· 김경래와 윤진환(2005). 트레이닝 유형이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내분비계에 미치는 영행.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5, 263-275.
· 김난수(2004). 신체활동 증진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활동량, 체력 및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김상우, 배윤정(2002).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력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성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1), 447-491.
· 김수진, 양점홍, 이성민, 전영남(2006). 수영과 수중운동이 초기 고령자 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5(5), 321-328.
· 김영수(2004). 노인의 신체활동과 신체적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5(5), 1861-1872.
· 김지현(2006). 고령남성의 연령 증가에 따른 일상생활체력의 변화 분석 및 노화연령 추정식의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김창규, 배윤정, 이운용(2000). 한국노인의 체력 요인별 평가 기준치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39(4), 453-466.
· 김창규, 이운용 배윤정, 김현수(2000). 고령자의 연령 증가에 따른 상지 및 하지 근관절기능의 변화. 운동과학, 9(2), 405-413.
· 김현수(2000). 저강도 근력트레이닝이 고령자의 활동체력과 생리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39(3), 432-442.
· 김현수, 김남정(2003). 고무밴드운동이 뇌졸중환자의 일상활동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42(5), 649-655.
· 김현수, 박우영(2005). 노인 체력검사와 평가. 서울: 대한미디어.
· 김현숙, 정치경, 이강숙(2002). 양로원 노인의 신체활동, 일상생활동작, 사회행동 및 기능수행에 대한 근력강화 운동프로그램의 효과. 예방의학회지, 35(2), 107-115.
· 문화관광부(2004). 국민체력 실태조사.
· 박상갑, 김은희, 권유찬(2005). 복합운동이 고령여성의 신체구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6(2), 109-115.
· 박성학, 김효철, 박우영(2000). 밴드트레이닝과 재활치료. 서울: 푸른솔.
· 박시영(2002). 10주간의 탄성밴드 운동이 고령여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혈중지질 농도 및 생활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박시영, 선우섭(2003). 10주간의 탄성밴드운동이 고령여성 고혈압 환자의 혈압, 혈중지질농도 및 생활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3(2), 115-127.
· 박은영, 이종하(2005). 복합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낙상관련 체력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14(2), 181-192.
· 박익렬(2004). 12주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고령 여성노인의 건강체력과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2, 459-469.
· 박장훈(2005). 12주간 등속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이 여성노인의 하지 등속성 근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 성혜련(2005). 복합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장애평가척도, 기능적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대학원.
· 손조욱(2005). 걷기운동이 양로시설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수, 체력, 자아존중감,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 안정훈(2004). 12주간의 저항운동이 여성고령자의 혈중지질 및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18(4), 27-40.
· 양점홍(2002). 최신 트레이닝학. 부산: 부산대학교 출판부.
· 유수진(1997). 노년여성의 주행운동훈련이 일일신체활동량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이병근(2004). 스포츠 현장 활용을 위한 신체활동량의 측정과 추정 방법 분류.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1, 399-410.
· 이석준(2006). 16주간의 저항운동이 노인의 체력 및 평형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스포츠리서치, 17(3), 519-528.
· 이성민, 양점홍, 김수진, 전영남(2005). 초등학교 정상아와 비만아의 건강관력체력과 신체활동량의 비교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4(6), 1185-1193.
· 이승범(2003). 노인종합복지관의 운동프로그램이 노화, 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 이재문(2003). 노인여성의 연령증가에 따른 생활체력 변화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9, 797-807.
· 임미자(2004). 고령자의 일상생활에 있어서 신체활동량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비만학회지, 13(3), 195-203.
· 전병일(2006). Dynamic system training과 detraining이 낙상을 경험한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체력과 자세유지 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 정덕조, 주기찬(2002). 탄력밴드를 이용한 저항운동프로그램이 고령여성의 활동체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2(2), 253-265.
· 정선태, 남태호, 김태왕(2003). 고령여성에 대한 걷기운동과 저항운동이 건강에 관련된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2(4), 793-805.
· 조재혁, 이승훈, 진종현(2004). ELASTIC BAND 운동과 스트레칭 운동이 노인 당뇨환자의 혈당, 중성지질 및 근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15(6), 1013-1020.
· 최상응, 이재상, 구현정, 이대택(2005). 저항성 및 평형성 운동이 낙상 경험 여성노인의 보행형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1), 287-295.
· 최종환, 김현주, 전병일(2005). 부가적 PNF-weight training과 detraining이 노인의 일상생활관련 신체적 기능과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발육발달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73-82.
· 최종환, 양점홍, 이청무, 김선응, 구광수, 박태섭, 강경환, 김현주(2006). 신체활동과 노화. 서울: 대한미디어.
· 최종환, 이규문, 김현주, 전병일(2005). 부가적인 PNF와 웨이트트레이닝이 노인의 일상생활관련 신체적 기능과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4(1), 693-701.
· 통계청(2005). 고령자 통계.
· 한준식(2003). 12주간 생활체조 프로그램 참여가 여성노인의 체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 황봉연(2005). 탄력밴드 저항성운동이 고령여성의 활동체력 및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1998).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the older adults. Med Sci Spor Exerc adults, 30, 992-1008.
· Barbosa, A.R., Santarem, J.M., Filho, W.J., & Marucci Mde, F.(2002).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on the sit-and-reach test in elderly woman. J Strength Cond Res, 16(1); 14-8.
· DiPietro, L. (2001). Physical activity in aging: Changes in patterns and their relationship to health and function. J Gerontol A Biol Sci, 56(2), 13-22.
· Fatouros, I.G., Taxildaris, K., Tokmakidis, S.P., & Kalapotharakos, V., Aqqelousis, N., Athanasopoulos, S., Zeeris, I., Katrabasas, I.(2002). The effects of strength training, cardiovascular training and their combination on flexibility of in active older adults. Int J Sport Med, 23(2); 112-119.
· Frank, J. S., & Patla, A. E.(2003). Balance and mobility challenges in older adults: Implications for preserving community mobility. Am J Prev Med. 25(3) suppl. 2):157-163.
· Gardner, M.M., Phty, M., Robertson, M.C., McGee, R., & Campbell, A.J.(2002). Application of a falls prevention program for older people to primary health care practice. Prev Med, 34(5); 546-553.
· Hickey, T., Sharpe, P. A., Wolf, F, M., Robins, L. S., Wagner, M. B., & Harkik, W.(1996). Exercise participation in a frail elderly population. J Health Care Poor Underserved, 7(3), 219-231.
· Jette, A. M., Harris, B. A., Sleeper, L., Lachman, M. E., Heislein, D., Giorgetti, M., & C., Levenson. (1996). A homebased exercise program for nondisabled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44(6), 644-649.
· Kathleen F. Janz (2005). Examining the Accuracy of the AMP 331 Activity Monitor ACSM Poster session April 21 university of Iowa.
· Phelan E. A., Williams, B., Leveille, S., Snyder, S., Wagner, E. H., & LoGerfo, J. P.(2002). Outcomes of a community-based dissemination of the health enhancement program. J Am Geriata Soc, 50(9), 1519-1524.
· Roberta, E.R., & Jones, C.J.(2001). Senior fitness test manual. IL: Human Kinetics.
· Rogers, M.E., Sherwood, H.S., Rogers, N.L., & Bohlken, R.M.(2002). Effect of dumbbell and elastic band training on physical function in older inner city African- American women. Women health. 36(4), 33-41.
· Sauvage, L.R., Myklebust, B.M., Crow-Pan, J., Novak, S., Millington, P., Hoffman, M.D., Hartz, A.J. & Rudman, D.(1992). A clinical trial of strengthening and aerobic exercise to improve gait and balance in elderly male nursing home residents. Am J of Phys Med Rehabil, 71(6), 333-342.
· Shephard, R. J. (1997). Aging,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hampaign, IL: Human Kinetics.
· Sherrington, C. & Lord, S.R.(1997). Home exercise to improve strength and walking velocity after hip fractur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78(2), 208-212.
· Toraman, N. F., Erman, A., & Agyar, E.(2004). Effects of multicomponent training on functional fitness in older adults. J Aging Phys Act, 12(4), 538-553.
· Van der Bij, A.K., Laurant, M.G., & Wensing, M.(2002). Effectiveness of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2(2), 120-133.
· Westerterp, K. R., & Meijer, E. P. (2001). Physical activity and parameters of aging: a physiological perspectiv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6(2), 7-12. Re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