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희주『각국의 제대군인 지원제도 비교 연구』, 1995, 수원;보훈교육연구원
· 국가보훈처,『국가와 보훈』, 2002, 서울;명신인쇄
· 국방부,『민족의 얼』, 제3집, 1994, 서울;국방부국립묘지관리소.
· ,『삼국통일의 군사전략』, 2002, 군사편찬위원회편.
· 국방대학교,『2005 범국민 안보의식 여론조사』, 2005.
· 김종성,『한국보훈정책론』, 2005, 서울;일진사.
· 유영옥,『국가보훈학』, 2005, 서울;홍익재.
· 육군본부,『장교의 道:修身, 垂範, 爲國獻身의 길』, 1997.
· 이병도, 譯註『國譯 三國史記』,『삼국사기』, 신라본기.
· 이삼식,『국립묘지 운영현황과 발전방향』, 2000, 서울;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이은봉,『한국인의 죽음관』, 2000,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 김현기,「북방한계선과 서해교전」, 2002, 국방저널 통권 제345호.
· 김현선,「현대 한국 사회 국가의례의 상징화와 의미 분석」, 2004, 한국학중앙 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류주희,「조선 태종대 정치세력 연구」, 2001, 중앙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박무환,「일본의 보훈제도」, 2006, 국가보훈처.
· 박선주, 「6ㆍ25전사자 유해발굴-의의와 성과 및 향후 과제」, 2006, 보훈학회.
· 박인붕,「대학생의 국가보훈처 CI와 브랜드 이미지 선호도 조사를 통한 신경영전 략 수립 연구」, 2006.
· 배경화,「상징정책으로서 국가보훈정책의 실질정책화를 위한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관한연 구」, 2006, 국가보훈처.
· 서태열,「세계화, 국가정체성 그리고 지역정체성과 사회과교육」,『사회과교육』제43권4호, 2004.
· 성은진,「해외 참전용사 대상 보훈정책에 관한 연구-세계화 시각으로 본 해외 참전용 사 지원 및 홍보방안을 중심으로」, 2005, 국가보훈처.
· 손수태,「국가 보훈의 이념적 가치와 국민정신과의 관계」, 2002, 국가보훈처.
· 손진태,「한국상고문화의 연구」,『손진태선생전집』, 권6, 서울;태학사
· 심효섭,「조선전기 수륙재의 설행과 의례」,『동국사학』, 2005, 제40집.
· 안기희,「보훈정책의 당면과제와 발전 방안」, 2005, 국가보훈처.
· 안중현,「한국 보훈선양정책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실증적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왈라번,「조선시대 여제의 기능과 의의-뜬귀신을 모셨던 유생들」,『동양학』, 제31집, 200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유기준,「한국 국가보훈의 변천과정과 국민 통합기능」, 2006, 한국보훈학회.
· 윤기석,「국가유공자 교육보호제도에 대한 연구」, 2006, 보훈학회.
· 정하나,「초등학생의 호국ㆍ보훈의식 확산을 위한 실증적 방안 연구;재량활동을 통 한 ‘즐거운 나라사랑 학습’」, 2005, 국가보훈처.
· 정헌영,「대학생들의 호국보훈의식에 관한 연구」, 2005, 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