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병훈 (1998), “장애아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요구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 강부혜 (1982), “자폐아동의 심리적 기능발달 양상 및 그 평가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고정자․김갑숙 (1996), “가족응집성, 적응성 및 스트레스 인지수준이 맞벌이 부부의 생활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4(1), 65~78.
· 구미향․이양희 (2002), “자폐아 어머니의 심리적응 유형 분석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117~131.
· 구재선(2000), “스트레스와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기효능감과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권기덕․김동연 (1995), “장애아 가족의 가족스트레스 연구”, 대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29~322.
· 권영화 (1991), “장애아 부모교육, 제28회 전국 특수교육연수회 자료”, 136~154
· 김기현 (1998),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9), 49~62
· 김기현․강희경 (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지, 35(5), 141~150.
· 김나영․윤호열 (2000), “정신지체아 부․모의 스트레스와 가족결합력”, 대한가정학회지, 38(7), 53~65.
· 김명온 (1995), “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미숙 (1997), “자폐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 김미옥 (1995), “장애아동 어머니와 일반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안”,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오 (1999), “자폐성 장애아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과 이에 작용한 요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양순 (1999),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치료 및 교육에 관한 이론적 고찰”, 놀이치료연구, 2권, 단일호 제주대학교 가정관리학과 교수. 5~7.
· 김예순 (1997), “자녀의 장애에 대한 원인귀인과 어머니의 양육만족감․부담감 및 대처행동”,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용희․제미경 (1987), “취업여성의 직업만족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5(20), 11~28.
· 김은숙 (1986),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의 불안․좌절에 대한 비교연구”,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일수 (2000), “장애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연구 : 아버지를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점향 (1998),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자원에 관한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희 (1993), “주부의 자원 적정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희(외) (1993), “심리학의 이해」” 서울 : 학지사, p340.
· 김지윤 (1998), “기혼여성의 생활만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노난이 (1996), “구순 및 구개열 환아 부모의 가족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정희 (1985), “정신박약아 가정의 시설보호 욕구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4.
· 문정희 (1994), “정신지체아 어머니가 받는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 박덕희 (2004),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른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정 (1983), “자폐아 어머니와 정상아 어머니의 사회 적응도에 대한 비교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혜진 (2004), “장애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및 대처행동과 생활만족도”, 인제대학교 대학원, 가족소비자학 석사학위논문.
· 배은주 (1999),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기독교 상담적 대처방안”, 기독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소희 (1994), “자폐아 연령군에 따른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조사연구”, 석사학위논문, 대구 : 대구대학교 대학원.
· 서혜영 (1992),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서화자 (1999), “장애인 가족 원조론 : 부모를 위한 지침서”,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 송성자 (1988), “장애자 가족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총람, 경기대학교 한국사회복지연구소, 31~32.
· 송영혜 (1994), “장애아 가정의 문제와 복지서비스”, 제2회 대구재활심포지움 자료집,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대구․경북지부, 16.
· 신향숙 (2000),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디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경화 (2000), “일반아동과 자폐아동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오승아 (2002), “장애아동 가족의 수입, 내구력, 누적 스트레스, 의사소통, 가족적응에 대한 구조 모델검증”, 대한가정학회지, 40(9), 175~189.
· 오승혜 (1998),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지지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 오혜경·정소영 (2003), “청소년기 장애아동의 양육부담과 가족지원”, 신정.
· 유지영 (1996), “중년기 부인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수영 (1992),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창영 (2002), “기혼 직장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직장-가정 갈등 모형과 영역별 삶의 질 모형의 통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은 (1990), “자폐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경희 (1993), “장애아동의 가족 스트레스와 적응의 구조모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경희(외) (1995), “가족복지”, 서울 : 형설출판사, p.202.
· 이기량 (1996) “장애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의 환경과 개선방안”, 동국전문대학교 금호논충, 제4집 별책, 316.
· 이삼연 (1999), “장애아모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지 38 : 180~205.
· 이상구 (2001), “자폐아동부모의 스트레스 해소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상복 (1994), “자폐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특수교육연구 창간호, 국립특수교육원.
· 이상복(외) (1998), “대구․경북지역의 장애아와 가족의 삶의 질”, 정서․학습장애연구, 별책 제14권 2호,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3.
· 이영민 (1989), “자폐아 어머니의 심리적 갈등해소를 위한 심성개발 훈련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현(외) (1990), “부모교육”, 서울 : 양서원, 276~278.
· 이한우 (2002),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한우 (1998),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부모의 양육태도 및 양육스트레스 비교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장인숙 (2001), “자녀양육에 대한 죄책감, 격리불안 및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재은․최희선 (1995),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123~133.
· 정창곤 (1989), “장애아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태도 변화과정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청자 (1989), “장애아 가정의 긴장(stress)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 어머니의 대처자원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현숙․유계숙 (2001), “가족관계”, 서울 : 학지사.
· 조수용 (1996), “주관적 지표에 의한 ‘삶의 질’ 측정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추영란․최보가 (1995), “취학 전 아동의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활동장애 및 가족변인이 부모역할, 가족기능지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3(5), 241~254.
· 최미영 (1987), “자폐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지연 (2001),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대처 방식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하수민․윤종희 (2002), “장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10), 191~200.
· 홍지연 (2006),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가 지각하는 가족기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Abidin, R. R.(1990), Parenting Stress Index (PSI) : Manual Pediatric, Charlottesvil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 A. Baum, J. E. Singer, & C. Baum (1981), “Stress and Environ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37, p.4.
· Beckman, P. J.(1983). A transactional view of stress in families of handicapped children. In M. Lewis(ED). Social Connections: Beyond the Dyad. New: Plenum.
· Berko, R M., Rosenfeld, L. B., & Samovar (1997), L.A. Connecting : A Culture- Sensitive Approach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y(2nd). New York :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 Bristol, M. M. & Shopler, E (1983), Stress and coping in families of autistic adolescents. In E. Schopler & G. B. Mesibov(Eds.). Autism in Adolescents and Adults(251~278), New York : plenum.
·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amatic Medicine, vol.38, 39.
· David, M. Boswell, Janet, M (1974). Wingrove, “The Handicapped Person in the Community”, Tavistock Publication, 138~146.
· Dennis, P. C. & Baker Lorian (1984), “Research Concerning Families of Children with Autism.” In Eric Schopier & Gary B. Mesibov(Ed) “The Effects of Autism on the family”, New York: Plenum Press, p.48.
· Dyson, L. L.(1993), Response to the presence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Parental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over time.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8(2), 207~218.
· Hanson, M. & Hanline(1990). Parenting a child with a disability.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al stress and adaptatio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4(3), 234~248.
· Hill, R. (1958), “Generic Features of Families under Stress”, Social Casework, 49, 135~150.
· H. Vernon, & H. W. David (1976), “Human Stress and Cognition”, The Pitman Press, p.48.
· L. Kogel, L. Schreibman & L. M. Loss (1992), “Consistent Stress Profiles in Mothers of Children wh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2(2), 206.
· Liu, B (1997). Economic and Non-economic Quality of life.
· Menaghan, E. G. (1983), Marital stress and family transaction: A panel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371~385.
· Morgan, B. (1988), “The Autistic Child and Family Functioning: A Developmental- Family System Perspectiv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18(2), p.264.
· Naseef, R. A.(1998). What helps Families of exceptional Children to cope successful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mple, 10~21.
· Olson, D. H. & H. I. McCubbin (1982), “Family Inventory”, Family Social Science, p.69.
· Pluszny, M. J. Autism: A Practical Guide for Parent and Professionals. Syracuse: Suracuse University Press.
· T. Keefe (1988), “Syress-Coping Skills: An Ounce of Prevention in Direct Practice, Social Casework” The Journal of Contemporary Social work, 69(8), 476.
· T. W, Mason (1975), “A Historical view of the stress field”, Journal of Human Stress, 1, 2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