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교와 분만에 관한 탐구 (아동심리학) / 출산 / 육아 / 태교 / 아동 / 육아교육 / 결혼 / 임신 /
- 최초 등록일
- 2008.03.16
- 최종 저작일
- 2007.03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태교와 분만에 관한 탐구라는 주제로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아동 심리학 레포트로 인터넷에서 퍼온것 보다
직접 도서관에서 찾은 자료들로 구성하여 희소성(?)있는 자료들이며,
제 생각과 견해 또한 뒷 부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처음으로 A+ 받았던 레포트네요^^
목차
1. 태교와 분만에 관한 탐구
⑴ 태교란 무엇인가?
- 태교의 정의
- 올바른 태교에 관하여..
⑵ 분만(출산)이란 무엇인가?
- 출산의 정의
- 올바른 분만에 관하여...
2. 출산, 분만에 관한 나의 견해
본문내용
1. 태교와 분만에 관한 탐구
⑴ 태교란 무엇인가?
태교(胎敎) : 임신 중에 태아에게 좋은 감화를 주기 위하여 임산부가 마음을
바르게 하고 언행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가르침.
임부가 임신 후 출산까지의 모든 일에 대해서 조심성을 간직하고 나쁜 생각이나 거친 행동을 삼가며 편안한 마음으로 말이나 행동을 할 때 태아에게 정서적·심리적·신체적으로 좋은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태중교육을 말한다. 임신 중 어머니의 심리적·정서적인 마음가짐과 언행이 태아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생각은 인류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존속되어 왔다. 보다 나은 자손을 번식시키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은 임신 및 출산을 인간사(人間事) 이상의 신령스런 것으로 생각했다. 따라서 신령스런 힘을 빌리고자 하는 원시심성(原始心性)은 태몽이나 산육민속(産育民俗)을 발전시켰고 좋은 아이를 태어나게 하기 위해서는 임부는 물론 측근들의 언행까지도 정성을 다하게 함으로써 태아에게 좋은 영향을 준다는 태교를 발전시켰다.
문헌상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임신 ·태교 ·육아에 대한 기록들이 엿보인다. 가장 오래된 기록으로는 중국 전한시대(前漢時代) 유향(劉向)의 《열녀전(列女傳)》이 있고, 가의(賈誼)의 《신서(新書)》, 대덕찬(戴德撰)의 《대대예기(大戴禮記)》 등이 유명하다. 한국에서는 빙허각(憑虛閣) 이씨(李氏)의 《규각총서(閨閣叢書)》, 사주당(師朱堂) 이씨(李氏)의 《태교신기(胎敎新記)》 등이 전해온다. 《열녀전》에 보면 중국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어머니 태임(太任)이 행한 태교의 기록을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태임의 성품이 단정하고 한결 같아서 정성스럽고 장중(莊重)하여 오직 덕행을 하다가 임신을 했는데, 눈으로는 나쁜 빛깔을 보지 않고 귀로는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