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남식, 신은주, 성정현, 2002, “여성조건부 수급자들의 실태와 자활의욕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 19호, pp.23~50
· 김경애, 1999, “흔들리는 모성, 지속되는 모성역할: 저소득층 모자가정의 여성가장”, 한국여성학, 제15권 2호, pp.87~117.
· 김경희, 백진아, 엄규숙, 2001, “복지정책이론의 여성주의적 재구성을 위한 시론”, 연세여성연구, 제 7호.
· 김수완, 2002, “공적연금에서 파생적 수급권의 의미와 형태에 관한 연구: 배우자 급여와 유족연금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vol. 20, 가을, pp.5~30
· 김영범, 2002, “한국 복지국가의 유형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제도의 미성숙성과 그에 따른 한계를 중심으로”, 김연명 편, 한국복지국가성격논쟁, 서울: 인간과복지.
· 박영란, 황정임, 김진경, 2001, 사회보험제도의 여성수급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 석재은, “여성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연금제도 개선방안 : 장기적인 측면과 단기적인 측면”, 한국여성단체 연합, 양성 평등한 노후보장을 위한 연금제도 개선방안 심포지움, 2001.
· 신경아, 2001, “노동시장과 모성, 가족의 문제. 남성중심적 노동자 모델을 넘어서”, 경제와사회, 제51호 가을호, pp.97~122.
· 신혜섭, 2001, “여성복지적 관점에서의 탈상품화에 대한 대안적 개념의 고찰 및 함의”, 한국가족복지학, 8호, pp.99-118.
· 엄규숙, 2002a, “여성과 국민연금”, 한국여성정책연구회, 한국의 여성정책, 지식마당.
· 엄규숙, 2002b, “여성의 실업, 고용보험과 복지정책담론”, 젠더와 사회, No. 1,2002. 5.
· 엄규숙, 2003, “한국 사회복지제도의 가족모델 재검토 - 사회보험과 공공부조를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회, 2003년도 제 19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3. 6. 21.
· 이숙진, 2002, "여성주의 시각에서 본 자활사업“, 한국여성학, 18권 2호, pp.37~72
· 이재경, ----, “국가와 성통제. 성관련 법과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
· 장미경, 2003, “한국 여성노동정책의 역사적 전개와 흐름”, 한국여성학회, 2003년도 제19차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003. 6. 21.
· 장미혜, 2002, “가정폭력과 여성정책”, 한국여성정책연구회, 한국의 여성정책, 서울: 지식마당.
· 정미숙, 2001, “여성가구주, 성별화된 빈곤 그리고 일. 어머니냐 노동자냐”, 경제 와사회, 제51호 가을호, pp.34~67.
· 조순경, 1998, “경제위기와 여성 고용 정치”, 한국여성학, 제14권 2호, pp.6~33.
· 조영훈, 2001, “유교주의. 보수주의, 또는 자유주의? 한국의 복지유형 검토”, 김연명 편, 한국복지국가성격논쟁, 서울: 인간과복지.
· 한국여성정책연구회 (옮김), 2000, 복지국가와 여성정책.
· 한국여성단체연합, 2001, 김대중 정부 여성정책 3년 평가 및 정책제안을 위한 토론회, 2001. 2. 22.
· 한혜경, 2000, “IMF이후 빈곤 및 실업대책에 대한 성인지적(gender sensitive) 분석”, 한국가족복지학, 6호, pp. 215~234.
· 홍경준, 2002, “복지국가의 유형에 관한 질적 비교분석 - 개입주의, 자유주의 그리고 유교주의 복지국가”, 김연명 편, 한국복지국가성격논쟁, 서울: 인간과 복지.
· Daly, Mary, "Comparing Welfare States: Towards a Gender Friendly Approach", in: Diane Sainsbury (ed.), Gendering Welfare STates, London, 1994
· Esping-Andersen, Gøsta,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 Esping-Andersen, Gøsta,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es, Oxford.